유무정 관여자에 따른 일한 사역문의 대조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지금까지 일본어와 한국어 사역문의 대조연구에서는 표면적인 상의점만 해결되어 왔을 뿐, 그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문의 성분이 사람인 경우를 ...

지금까지 일본어와 한국어 사역문의 대조연구에서는 표면적인 상의점만 해결되어 왔을 뿐, 그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문의 성분이 사람인 경우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므로 무정으로 나타나는 경우까지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의 관여자가 유정인지 무정인지에 따라 일본어 사역문과 한국어 사역문의 의미적, 통어적 특징을 대조해 봄으로써 양 언어 사역문의 독자적인 영역을 밝혀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어와 한국어를 대조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어와 한국어 사역문은 공통적으로 사역자가 무정인 경우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사역문이 사태의 관여자 가운데 사역자를 중심으로 묘사하는 특징이 있으며, 원인자인 사역자를 보다 넓은 범위로 확대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차이점을 보면, 일본어 사역문의 성립 조건에서는 피사역자의 성질과 피사역 사태의 실현이 매우 중요하다. 즉, 피사역자가 무정인 경우에도 「(サ)セル」형식을 씀으로써 피사역자의 자발성을 인정하고, 그 잠재적 능력에 의해 피사역 행위가 달성된다는 점이 타동사문과 구별되는 일본어 사역문의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 사역문에서는 피사역자가 「신체부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한국어보다 훨씬 많았는데, 일본어는 사역 형식을 통해 보다 약동감을 높이려는 의미적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한국어 사역문은 단일 사역형식을 가진 일본어와 달리 「이」형과 「게 하다」형의 두 개의 형식으로 나누어 있어, 「讀ませる」에 대응하는 한국어가「읽히다」와 「읽게 하다」가 있어 표현상의 차이가 난다. 즉,「이」형은 「게 하다」형 보다 사역자가 피사역 행위에 보다 밀접하게 관여하며, 화자에 대해 시간과 공간, 심리적 가까움을 나타내는 등 일본어 사역문 보다 의미 특징이 분화되어 있었다.
또한, 한국어의 「이」형 사역문은 피사역자가 유정인가 무정인가에 상관없이 일본어 타동사와 중복된 의미적 특징을 나타내며, 조작 사역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게 하다」형 사역문은 일본어와는 달리 가능이나 자발 등 피사역 사태가 상태 변화인 경우에도 쓰일 수 있으며, 피사역자 사태의 결과까지는 포함하지 않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일본어 사역문은 '피사역자의 조절성','피사역사태의 실현에 초점'을 두는데 반해, 한국어 사역문은 '사역자의 야기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 far, contrastive studies of Japanese and Korean causative sentences concerned only their superficial aspects, while the significance of their differences has remained unresolved. Moreover, previous studies were focused upon sentences components of ...

So far, contrastive studies of Japanese and Korean causative sentences concerned only their superficial aspects, while the significance of their differences has remained unresolved. Moreover, previous studies were focused upon sentences components of which were people. Thus there is a need for an analysis that would include sentences with inanimate compon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unique spheres of Japanese and Korean causative sentences by comparing semantic and structural peculiarities of these sentences in both languages.
The results of contrastive analysis of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ere are cases when a causer in causative sentences is inanimate. This is because description in causative sentences is done from the viewpoint of a causer. It shows the possibility to broaden the concept of a causer.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s, we can notice that very important conditions for construction of causative sentences in Japanese are characteristics of a causee and realization of the state of being caused. In other words, we can recognize a peculiarity of Japanese causative sentences where even in case of inanimate causee the use of "saseru"-form gives a voluntary nature to the causee and emphasizes that the action of being caused occurred due to potential abilities of the causee, thus differentiating causative sentences from sentences with transitive verbs. Moreover in Japanese causative sentences bodily parts appear as causee much more often than in Korean.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a semantic peculiarity of Japanese language which lies in the fact that it tends to heighten the sense of lively motion through causative forms.
On the other hand, Korean causative sentences have two forms - "i" type and "-ge hada" type unlike Japanese which has only one form of causative sentences. For example Korean expressions equivalent to Japanese "yomaseru" are "ikhida" or "ilke hada" which differ from one another in the form of expression. Namely, "i" type expresses closer participation of a causer in causative action compared to "-ge hada" type. It also expresses temporal, spatial and psychological closeness to a speaker, thus showing a semantic peculiarity quite different from Japanese causative sentences.
Besides that, in many cases Korean causative clauses of "i" type overlap in meaning with Japanese transitive clauses regardless of whether a causee is animate or inatimate and have the meaning of manipulative causation. Another peculiarity of "-ge hada" causative form as opposed to Japanese causatives is that it can be used even in cases when ability, spontaneousness or other caused state is changing, but do not include results of causee's state.
Combining all of the above-said we can conclude that while Japanese causative clauses focus on "controllability of causee" and realization of caused action, Korean causative clauses focus on the action of a causer.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