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과정에서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은 초본을 작성한 후에 교사나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시 수정본을 작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피드백의 유형,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하는 양상,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 및 학습자들이 피드백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와 의견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실력의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학습자들은 교사 피드백 집단과 동료 피드백 집단으로 각 20명씩 나뉘었는데, 교사 피드백 집단은 한국어 교사에게 초본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서 수정본을 쓰고 동료 피드백 집단은 학습자들끼리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을 실시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수정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해 이 두 집단이 작성한 작문의 초본과 수정본, 그리고 교사와 동료가 제공한 피드백이 분석되었다. 한편 피드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의 경우 교사 피드백만 경험해 보았던 학습자 24명과 동료 피드백 활동을 해 본 학습자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교사 및 동료 피드백이 각 집단 안에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두 집단 사이의 차이도 알아보았다. 피드백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두 독립 표본 t 검정, 두 종속 표본 t 검정, 그리고 χ2 검정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두 집단 내에서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형식 피드백이 의미 피드백의 수보다 많았다. 이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 문법적인 형식과 형태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피드백 제공자에 따라 형식 피드백과 의미 피드백 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형식 피드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고 의미 피드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는 동료들보다 한국어에 대한 문법적인 지식이 많으므로 형식 피드백을 더 많이 주고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셋째, 두 집단의 학습자들이 피드백을 받은 후에 수정본에 피드백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알아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피드백 집단의 학습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수정본에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피드백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 수정하는 경우는 동료 피드백 집단이 더 많았다.
넷째, 교사 피드백 집단 내에서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내용, 구성, 문장, 어휘, 맞춤법 및 총점 중에서 내용, 문장, 어휘, 맞춤법 및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 피드백은 구성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섯 째, 동료 피드백 집단 내에서 초본과 수정본 사이의 점수 향상도는 내용, 구성, 문장 및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동료의 피드백이 어휘나 맞춤법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여섯 째,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피드백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본과 수정본 사이에서 향상된 점수는 문장, 맞춤법 및 총점 영역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내용, 구성 및 어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동료 피드백도 내용, 구성 및 어휘 영역에서는 교사 피드백과 유사한 효과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일곱 째, 교사 및 동료 피드백을 경험한 학습자들이 각 피드백에 대해 지니는 생각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교사 피드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동료 피드백에 대해서는 동료 피드백을 경험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서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동료의 글을 읽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더 유용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모든 학습자들은 교사와 동료 모두에게서 피드백을 받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동료 피드백 활동을 교사 피드백과 병행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다시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 및 동료 피드백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더 나아가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에서 동료 피드백에 대한 여러 학문적인 논의들도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