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色彩語 比較를 통한 韓國 文化敎育 方案에 관한 硏究 (2)[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韓國과 中國의 色彩語의 文化的 意味差異를 比較하고,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 학습자들에게 한국 색채어의 語彙를 통한 文化 敎育 措施을 提示하는데 그 ...

본 논문은 韓國과 中國의 色彩語의 文化的 意味差異를 比較하고,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 학습자들에게 한국 색채어의 語彙를 통한 文化 敎育 措施을 提示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한국과 중국은 同一한 漢字 文化圈에 속하기 때문에 文化的 共通點이 많지만, 같은 색이라고 할지라도 나라마다 다른 文化와 狀況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內包되어 있는 의미도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구분하여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韓·中 兩國의 검은색, 노란색, 붉은색, 푸른색, 흰색의 五色 色彩語의 文化的 意味를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문화적 차이를 言語 習得에 어떻게 반영하여 교육해야 할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東洋圈에서는 검은색은 대부분 어둠을 상징하여 不正的이고 不吉한 의미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도 공통적으로 陰凶, 惡毒, 잘못, 不吉 등과 같은 부정적 의미로 사용된다. 그 밖에도 중국에서는 ‘羞恥, 不名譽, 헛되다, 陋名, 痲藥’ 등과 같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한국어에서는 ‘거리나 시간의 거리가 멀거나 아는 바가 없어 인식할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검은색을 사용한다.
‘黃金’을 상징하는 노란색은 두 나라 모두 아주 가치 있고 귀중한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되고, 중국에서는 皇帝의 옷을 나타내는 색깔로 아주 귀하게 여기고 있다. 또 가망이 없거나 얼굴에 病色이 짙은 것을 가리킬 때 공통적으로 노란색을 사용한다. 또한 두 나라 모두 西洋文化의 영향을 받아 ‘警告, 선정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귀하다’라는 의미보다 ‘선정적’ 의미로 더 많이 쓰이고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대신 한국에서는 ‘인색함, 俗世’를 나타내는 데에 노란색을 사용하고 있다.
붉은색과 흰색의 사용은 두 나라 간에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
憤怒, 부끄러움 등과 같은 生理的인 反應을 표현하는 것과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속살에 비유하여 ‘맨, 빈’의 의미 한중 양국에서 비슷하게 표현되고 있다.
하지만 ‘共産主義’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붉은색은 한국과 중국이 政治的으로 理念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중국에서는 ‘進步, 革命, 未來 指向的’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좋은 일이 있을 때, 특히 결혼과 관련된 일은 대부분 붉은색을 사용하여 ‘慶祝, 幸福, 기쁨’을 표현한다.
흰색은 한국에서는 해를 상징하고 ‘깨끗함, 순수함’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한국과 달리 ‘공짜, 邪惡, 陰凶, 不幸, 헛수고’ 등의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한다. 이것은 한국과 중국 모두 흰색은 ‘죽음’을 나타내지만 중국에서는 이것을 불길하게 여겨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한국에서는 ‘죽음’과 동시에 새로운 ‘생(生)’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의미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푸른색은 두 나라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점이 한국어는 파란색과 초록색을 같은 ‘푸르다’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중국어에서는 파란색과 검은색을 ‘푸르다’라는 의미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지위가 낮은 사람들의 옷이 푸른색이었기 때문에 ‘卑賤함, 恥辱’의 뜻을 나타내고 한국에서는 ‘서슬이 퍼렇다’ 와 같이 ‘날카롭거나 기세가 등등하다’ 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중국과 다르다. 하지만 두 나라 모두 ‘젊음, 生命力, 希望’ 등의 의미가 공통적으로 쓰이고 있다.
다음 장에서는 이렇게 두 나라의 색채어의 의미차이를 살펴본 것을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이것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方案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語彙를 習得하는 것을 目標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에 담겨진 한국의 역사와 같은 文化的인 側面과 한국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情緖를 가르치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한국어 敎授學習 模型에서는 敎材 構成의 가장 일반적인 흐름인 ‘도입-제시-연습/활용-보충심화’의 단계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색채어 교육 방안에서는 문화교육 활동을 할 때 교재에 제시된 내용과 함께 학습자들이 색채어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언어표현 비교하기’, ‘자기 경험 이야기하기’, ‘문맥을 활용한 교육’, ‘에세이 쓰기’, ‘그림보고 문제 알아맞히기’ 등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文化敎育이나 語彙敎育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색채와 관련한 어휘와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두 나라의 색채어를 비교하고 그 어휘와 문화의 차이점을 어떻게 교육시킬지에 대한 방안을 摸索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색채어로만 限定되었지만 앞으로 다양한 나라의 문화와 어휘에 관한 비교를 통해 더 많은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어를 쉽게 공부할 수 있는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