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어학습자의 영어 추상명사의 가산성 판단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EFL 상황의 한국영어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추상명사의 가산성 판단 문제에 주목하여, 가산성에 따른 명사의 분류 방식과 이론적 배경으로 유표성과 보편문법에 대하여 살...

본 논문은 EFL 상황의 한국영어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추상명사의 가산성 판단 문제에 주목하여, 가산성에 따른 명사의 분류 방식과 이론적 배경으로 유표성과 보편문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추상명사 가산성에 대한 인지도와 인식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추상명사 가산성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추상명사 가산성에 대한 인지도와 인식을 조사하고,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를 한국 내 거주하는 원어민에게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 집단의 추상명사 가산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가산적 편향의 추상명사보다 가산적 편향의 추상명사에 대한 가산성 인지도가 낮아, 추상명사의 가산성 습득의 난이도, 즉 유표성 위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인과 원어민 피실험자 대부분이 추상명사는 셀 수 없고 부정관사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원어민이 높았다. 가산성 판단을 위해 원어민은 직관에 의존하는 반면, 한국인 피실험자는 학습을 통해 인지하고 있는 규칙을 의식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많은 시간을 영어교육에 할애하지만 추상명사의 가산성 판단에 대한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가산성에 대한 교수·학습의 양도 불충분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인 학습자의 추상명사의 가산성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한국인 피실험자 대부분이 추상명사의 가산성 판단을 어렵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가산성의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영어 대 한국어 대응 방식의 어휘 습득이나 학습상의 편의를 위해 명사 종류에 가산성을 대응시켜 가산성에 대한 고정된 인식을 심어주는 것에서 탈피하여,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정확한 용례들과 오류 유형을 충분히 제시하여 문맥에 따른 정확한 가산성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untability judgments of English abstract nouns by Korean EFL learners. The subjects consist of 10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1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55 English native speakers who live in Kore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untability judgments of English abstract nouns by Korean EFL learners. The subjects consist of 10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1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55 English native speakers who live in Korea. English abstract nouns have been divided into countable, uncountable and dual-class nouns by their degree of countability for the experi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Korean EFL learners have more difficulty in judging countability of countable abstract nouns than uncountable on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markedness hierarchy in acquiring countability of abstract nouns.
2. Korean EFL learners' judgment criteria for countability of abstract nouns are less stable than English native speakers. This is shown in the Korean subjects' much lower recognition rates of countability of abstract nouns
than the native speaker subjects' and in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about countability of abstract nouns.

Further, most of the subjects think that abstract nouns are uncountable and do not need indefinite articles. Most of the Korean subjects depend on explicit and limited rules rather than intuition to judge countability of abstract nouns and consider countability judgment of abstract nouns difficult.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have been provid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