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우법과 관련된 언어 형태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우 현상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사회적 활동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이 연구는 대우법과 관련된 언어 형태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우 현상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사회적 활동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화자가 대우 관련 인물과의 사회적 위계 및 개인적 친소 관계를 언어상에 반영할 때, 단위 문장 안에 작용하는 규칙을 대우법이라 한다. 이 대우법은 비록 문법적 규칙의 체계화가 어느 정도 가능 하다고 하더라도, 문맥 의존성이 매우 큰 것이어서, 화용론적 해석의 지원을 받지 않으면 안 될 때가 많다.
이 연구는 한국어 대우법 중에서도 그 주종을 이루는 상대 대우법, 주체 대우법 및 객체 대우법의 체계적 기술을 목표로 한다.
상대 대우법에서는 주로 등급과 각 등급의 형태 특징과 쓰임 문제가 논의된다. 격식체 등급은 아주높임(합쇼체), 예사높임(하오체), 예사낮춤(하게체), 아주낮춤(해라체)으로 나눈다. 비격식체 등급은 두루높임(해요체) 및 두루 낮춤(해체)을 포함한다. 한국어를 말할 때 공적인 요인, 사적인 요인, 상황 요인에 의거해서 말하는 등급을 설정하게 된다.
주체 대우법은 주체 존대법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것은 화자가 문법 형태 ‘-시-’에 의해서 주어 대상인 주체를 존대하는 대우법이다. 주체에 대한 존대 여부를 결정짓는 것은 화자인데, 화자의 독단적인 결정에 의해서만 실현하는 것은 아니고 청자 등 많은 요소가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객체 대우법은 ‘드리다, 모시다, 뵙다’ 등 소수의 특정 어휘에 의해서 표현되는 화자의 객체 존대로 특징지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문법뿐만 아니라, 화용론적 현상도 고려하여 대우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기본적으로 대우법은 화자, 청자, 제3자(주체, 객체, 기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바, 이들 인물 또는 이들의 상호 대우 관계는 발화 장면 또는 발화 문맥에 크게 의존되는 화용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것은 대우법이 단순 문법적 현상이라기보다 화용론적 현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 연구 이전의 많은 연구 업적에 근거해서 좀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yntax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honorific expressions.
Honorific expressions are based on the soci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We call the rule in the unit sentence honorific mode when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yntax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honorific expressions.
Honorific expressions are based on the soci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We call the rule in the unit sentence honorific mode when the speaker reflects social hierarchy and personal relationship. This honorific mode can be too dependent on the context although the rules can be changed to some extent. There are times when it may be necessary to get support for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context in relation to the honorific mode.
In this study, we will deal with the main honorific modes in the Korean language systematically such as the counterpart honorific mode, subject honorific mode and object honorific mode.
In the counterpart honorific method,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and its usage are discussed. Formal style grades can be divided into the highest (Habsho), high (Hao), low (Hage) and the lowest (Haera). Informal style includes overall high (Haeyo) and overall low (Hae). In speaking Korean, we set the grade according to public, private and situational factors.
Subject honorific mode is composed using the subject respect mode. It uses si- in the sentence to show respect to the subject. It is the speaker who decides whether to show respect to the subject.The recipient of the honorific speech will understand that the speaker is addressing the subject in an honorific manner.
Finally, object honorific mode is characterized by object respect expressed by specific words such as ‘Drida, Mosida and Boibda’.
In this study, pragmatic phenomena as well as grammar are discussed. The honorific method is expressed by the speaker, listener and a third party (subject, object and others). The honorif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gures has pragmatic characteristics dependent upon utterance scene or utterance context. It means that honorific mode is not a simple grammatical phenomenon but a pragmatic phenomenon.
We will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