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을 통사론적 관점 즉 형태소 분석을 통한 문법 형식 및 문장 구조의 대비를 하는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을 통사론적으로 논의한 업적이 별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을 통사론적 관점 즉 형태소 분석을 통한 문법 형식 및 문장 구조의 대비를 하는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을 통사론적으로 논의한 업적이 별로 없고, 한국어와 일본어 대비 연구의 실적도 역시 마찬가지다. 본고에서는 공시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현대 국어를 분석한다. 분석의 배경이 되는 업적은 한국 쪽은 서정목(1993, 1998, 2000), 이정훈(2004), 일본 쪽은 Harada(1976), Niinuma(2003) 등이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장 구조 및 선문말의 통합 관계에 대해 정리한다. 기존의 막연한 대비 연구와 달리 양국어의 특징적인 문말 어미를 분석, 또한 대우법 문법 형식을 추출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예측되는 주체, 객체, 청자 대우를 개관하였다. 본고에서는 소재 대우, 대자 대우의 관점에서 주체, 객체 대우의 일치 관계를 3장에서, 청자 대우를 화계를 포함해서 4장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3장은 주체 대우와 객체 대우의 일치 현상에 대한 고찰을 한다. 동사부와 일치하는 성분별로 논의하여 한국어와 일본어 대우법의 유사점, 차이점을 검토한다. 기존 연구에서 단순한 유사점으로 보았던 부분의 차이점, 단순한 차이점으로 보았던 부분의 유사점 등 세밀한 고찰을 한다. 4장은 청자 대우에 대한 고찰을 한다. 한국어의 화계가 일본어보다 세분화되는 것은 선행연구에서 밝힌 바이다. 그러나 그 화계를 논리적으로 또한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우법 형태소 개입수와의 관련을 명시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한국어 일본어 둘 다 단지 형식을 나열하여 그에 맞는 화계를 부여할 정도에 그쳤다. 형태소 분석으로 인해 언어 분석이 더 면밀해 진 것이 본고의 개선점이다. 현재까지 각각 언어에서는 명백한 사실로 되어 있지만 대비를 하였을 때 언어 미터로서 차이점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부정문, 접속조사, 청자 대우법의 특이예와 화계의 공통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정리한다. 특히 화계의 틈이 되는 부분에 특이하게 대우법이 실현되어서 나타나는 경우는 흥미로운 공통점으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honorific system of Korean and Japanese. There are a few thesis of syntactic study about Japanese honorific system, and also of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norific system and Japanese honorific system in the syntactic...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honorific system of Korean and Japanese. There are a few thesis of syntactic study about Japanese honorific system, and also of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norific system and Japanese honorific system in the syntactic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grammatical forms and structure of sentence of honorific, I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and Japanese synchronically. The base study in Korean is Suh C.M.(1993, 1998, 2000) and Lee C.H.(2004) and in Japanese Harada(1976) and Niinuma(2003). In chapter 2, I discuss the difference of Korean and Japanese's structure of sentence. And I extract the morphemes of Korean and Japanese honorifics and explain the unification of the ending for preparing the main discussion about honorific system.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studies in that I analyze the unit of honorific morphemes.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subject and object honorific for‘Material honorific’with the agreement phenomenon in chapter 3 and on the listener honorific for‘Listener honorific’with the speech level in chapter 4. In chapter 3, I consider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greement of honorific. I discuss the point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orean and Japanese honorific system by checking the phrases which is able to be agreed with verb honorific phrase.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listener honorific system. In the former studies it had studied that Korean listener honorific system is more complex than Japanese system. Previous studies just listed the speech levels. On the contrary in this study I check the number of morphemes which is included in the grammatical form and divide the levels. It means this thesis is more scientific and strict study. The points that it was obvious only in Korean or only in Japanese will be checked by means of comparative study. There are special feature in Negative phrase, conjunctive phrase and the crevice of speech level. It is interesting that people use the similar honorific style in the crevice of speech level both in Korean and in Japanes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