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인 지역에 거주하면서 1주일에 2시간 이상 한국어 교육을 받는 여성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인 지역에 거주하면서 1주일에 2시간 이상 한국어 교육을 받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여성 결혼이민자의 남편, 그리고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를 교수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과 질문지를 통해 여성 결혼이민자가 실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했다.
요구분석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은 언어학적인 분석 단위를 사용해왔으나 최근, 분석의 단위로 과제를 사용하는 또 다른 접근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련의 연구에서 Long은 과제가 요구분석에 있어 실용적인 분석 단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언어 학습이 요구되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효율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목표과제 선정을 하기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했다. 요구분석을 통해 목표 과제를 선정했으며 개별 과제에 대한 빈도와 중요도, 난이도에 대한 여성 결혼이민자와 여성 결혼이민자의 남편과 한국어 교사들이 인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Ⅰ장 서론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급증 현황 및 실태에 대한 논의와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제작을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를 하며 연구문제를 진술했다. 특수목적학습자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학습이 중요함을 지적하며 목표과제 설정을 위한 과제단위 요구분석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과제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제2언어 교수법에 있어 종합적 접근법과 분석적 접근법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과제 중심 언어교수법의 방법적 원리와 언어 교수에 있어 과제 중심 접근법이 갖고 있는 장점에 대한 기술했다. 이를 바탕으로 과제 중심 요구분석의 당위성을 설명했으며, 과제 단위 요구분석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써의 연구 방법-연구 대상·연구 자료 수집·측정 도구· 절차-에 대해 기술했다. 연구자료 수집 과정에서 문헌 조사(교재 분석) 내용과 여성 결혼이민자와 여성 결혼이민자의 남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을 통해 얻은 내용의 비교·대조를 통해 질문 문항 선정 과정에 대해 기술했으며 측정도구인 질문지의 제작 과정에 대해서 서술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multi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 검정 실시했다.
Ⅵ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가 실제 세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목표 과제를 확인했다. 그리고 목표 과제에 대한 여성 결혼이민자· 여성 결혼이민자 남편· 한국어 교사의 인식을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들은 각각 목표 과제에 대한 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달리 인식하고 있었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인사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과제로 꼽았으나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병원 이용하기’를, ‘면접 보기’를 가장 어려운 과제로 꼽았다. 목표 과제 별 거주기간 및 학습 기간에 따른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난이도에 있어 거주 기간 및 학습 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결혼이민자 남편의 경우 역시 개별 과제에 대한 빈도·중요도·난이도를 달리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안일 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과제로 꼽았고,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병원 이용하기’를, 가장 어려운 과제로는 ‘귀화 신청하기’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의 경우 역시 개별 과제에 대한 빈도·중요도·난이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인사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과제로, ‘아이 알림장 확인하기’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아이 숙제 살펴봐 주기’를 가장 어려운 과제로 선정했다.
과제 빈도와 난이도에 대한 우선순위에 있어 상위를 차지한 항목에 있어서, 여성 결혼이민자와 여성 결혼이민자 남편, 한국어 교사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과제 중요도의 우선순위 상위 항목에서는 중복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 검정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여성 결혼이민자 남편의 경우, ‘인사하기’에서 빈도 차이 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이도 차이검정에서는 ‘명절 음식 준비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 결혼이민자와 한국어 교사의 경우, 과제 빈도 차이 검정에서 ‘음식 재료, 반찬, 요리 이름알기’에서, 중요도 차이 검정에서 ‘아이에게 동화책 읽어주기’, ‘아이 숙제 살펴봐 주기’, ‘아이 알림장 확인하기’, ‘병원 이용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이도 차이검정에서는 ‘명절 음식 준비하기’, ‘아이에게 동화책 읽어 주기’, ‘아이 숙제 살펴봐 주기’, ‘아이 선생님과 상담하기’,‘병원 이용하기’,‘면접 보기’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 결과인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에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목표 과제에 대한 빈도와 중요도·난이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바탕으로 생존 목적의 한국어를 익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진정성을 담보하고 있는 과제 제공의 중요성에 대해 서술했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제작 시 목표 과제의 빈도·중요도·난이도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