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現代 二音節 漢字語 構造 및 意味 比較 硏究 : HSK 丙·丁급 동사 어휘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의미 변화의 원인과 추세를 고찰하며, 서로의 모국어 학습에 필요한 효율적인 한자 어휘 학습능력 배양에 있다’는 관점을 배경으로 기본적으로 초·중급 ...

본 논문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의미 변화의 원인과 추세를 고찰하며, 서로의 모국어 학습에 필요한 효율적인 한자 어휘 학습능력 배양에 있다’는 관점을 배경으로 기본적으로 초·중급 수준의 한자 어휘에 연구 중점을 두고, 한·중 양국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자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한·중 교류의 역사와 함께한 한자는 한국어에 자연스럽게 차용되어 현재 한국어에서 어휘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을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양국 모국어의 효율적인 학습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의 초중등 HSK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대상 어휘인 ‘한·중 현대 한자어’에 걸맞도록 《漢語水平考試詞匯與漢字等級大綱》에 수록된 HSK 丙·丁급 어휘 중 이음절 동사 한자 어휘 1,128개와 HSK 丙·丁급 이음절 동사 한자 어휘 1,128개와 대응 가능한 《한자능력검정 읽기한자 3,500字》 [-하다]형 한자 어휘를 기초 범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검토 결과 분류상의 방법 및 용어에서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등, 포괄적인 어휘 분류로는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연계가 적다고 보고, 이를 벗어나서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초중등 HSK 학습자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양국 어휘 학습에 사용빈도가 높은 한자 어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자어가 한국어에서 어휘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은 분명 양국 학습자에게 매우 유리한 어학 학습 환경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래 당시와는 다른 의미로 변화된 것이 많아 오히려 학습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음도 고려하여, 먼저 한·중 한자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그 변화의 결과로 나타난 차이점과 차이점 발생의 요인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한·중 한자어의 비교·분석을 위한 구분의 기준으로 한자어의 형태에 초점을 두고 형태의 다름과 같음을 구별하여 同形語와 異形語로 나누었다. 한자는 표의문자로 형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의미가 구분되기 때문이다. 다시 同形語는 同素同義型, 同素異義型과 同素部分異義型으로, 異形語는 異素同義型과 逆素同義型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同素同義型의 경우 한·중 한자 어휘 학습에 유리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의 중점사항은 한·중 현대 한자어의 의미·형태에 따른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同素異義型과 異素同義型의 특징,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초중등 HSK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상의 오류 예방을 위해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양국의 한자 어휘 학습에서 HSK 丙·丁급에 해당되는 이음절 동사 한자 어휘와 그 쓰임을 예시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異素同義型과 逆素同義型에 대해서도 그 발생의 원인과 함께 실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또한 HSK 丙·丁급 동사 한자 어휘 1,128개의 유형별 통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한·중 현대 한자어의 구조·의미상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 발생의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양국 모국어 학습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한자 어휘 학습방법을 요약·정리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a view that "It's critical to increase the learning abilities of efficient vocabula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needed to learn Korean and Chinese by examining the causes and trends of the changes to the meanings of words w...

This study was based on a view that "It's critical to increase the learning abilities of efficient vocabula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needed to learn Korean and Chinese by examining the causes and trends of the changes to the meanings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of vocabula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 the study researched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both in Korea and China.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at more than half of the current Korean vocabulary is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s they were naturally borrowed into Korean along the long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nvestigator wanted to generate some useful results to help Korea's HSK learn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y placing a focus on efficient learning of Korean and Chinese.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moder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1,128 two-syllable verb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selected from the HSK Bing(丙) and Ding(丁) vocabulary in 《漢語水平考試詞匯與漢字等級大綱》 along with their corresponding [-to do]-typ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3,500 Chinese characters for Reading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Test》. A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reveal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patterns in the methods and terms of categorization and that comprehensive vocabulary categorization offers few practical connections to the students. Thus I attempted more specific categorization to suggest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high frequency in learning the 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to Korea's HSK learn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China's Korean learners. The fact that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current Korean vocabulary provides a favorable learning environment to the learners of Korea and China. But, at the same time, it's also true that many of them have changed in meaning and thus disturb their learning.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I reviewed the differences derived from the changes and their causes. The criterion to compare and analyz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was the form. The words were divided into 同形語 and 異形語 according to the same or different forms since Chinese characters are ideographs and resort to visual elem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s. While 同形語 were then divided into 同素同義型, 同素異義型 and 同素部分異義型, 異形語 into 異素同義型 and 逆素同義型 for comparison and analysis purposes. 同素同義型 worked in favor of the learners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meanings and forms of the moder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Thus the research scope encompassed th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同素同義型 and 異素同義型 and further the errors made by the HSK learn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they learned the vocabulary. Examples were given of two-syllable verb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corresponded to the HSK Bing(丙) and Ding(丁) grade in learning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Korea and China, and their uses. The same procedures were applied to 異素同義型 and 逆素同義型 whose causes of appearance and examples were also provided. In addition, the statistics of the 1128 verb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HSK Bing(丙) and Ding(丁) grade were ed according to the types. The conclusion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moder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structure and meaning,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and more efficient ways to lear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or the learners of Korean and Chines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