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L학습자들의 한국어와 영어 작문에서의 조응현상과 일관성 비교 : "중심화 이론(Centering Theary)"을 바탕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i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xt's coher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Centering Theory proposed by Grosz, Joshi and Weinstein(1995). With an aim at accomplishing this purpose, we tried to compare ...

The purpose of this i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xt's coher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Centering Theory proposed by Grosz, Joshi and Weinstein(1995). With an aim at accomplishing this purpose, we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Korean writing and English writing of EFL students based on types of center transitions.
We first studied the notion of Centering Theory and selected the experiment group that consisted of 35 highschool students. They were asked to make a free composition both in Korean and in English. After finishing each Korean text and English text, the students translated their own texts into English or Korean ones. They were also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their English and Korean scores of the former semester to evaluate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the center continuation transition in Korean writing showed higher results than English writing. In other words, the result showed language proficiency affects the coherence of a text. The 12% contrast number, however, was so insignificant that we needed to divide the group into two based on their scores and to compare the group data with the data from the whole group. The result was same as before.
2. The rate of the center continuation transition of English writing in the English high-level group was higher than the rate of the whole group or low-level group. Although we divided the group into two based on the English scores, the rate of the continuation transition of the Korean writing in the high-level English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e rate of the English low-level group.
We doubted the Korean scores also affected the Korean text. Therefore, we divided the English high-level group into two again based on the Korean scores, and compared them. As a result, the rate of the center continuation transition was lower than before in the case of the Korean low-level group. That is, the result also showed the language proficiency affects the coherence of a text.
3. The rate of the center continuation transition was lower than before after the text was translated. This study showed that if the student wasn't proficient in English, their Korean translation text was more incoherent. In other words, the result also showed the language proficiency affects the coherence of a text in translation.
4. The centers were more frequently realized in the position of a subject than a object in case of the English or Korean high-level group.
5. The zero forms were realized as a center more frequently in Korean text than English text. This study also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frequency of zero form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llowed us to learn that the language proficiency affects the coherence of the text.

사람들 간의 관계는 결국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발전되거나 또는 단절되는 것이므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있어서 자신의 의도나 주장을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것은 중요한 자질...

사람들 간의 관계는 결국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발전되거나 또는 단절되는 것이므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있어서 자신의 의도나 주장을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것은 중요한 자질이 아닐 수 없다. 이렇듯 담화나 텍스트에서 일관성은 목적이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특성이며, 담화의 초점이나 관심을 조절함으로써 담화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과정에 대한 계산적인 모델을 제시한 이론이 바로 Grosz와 Joshi(1995)의 중심화 이론(centering theory)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실제 작성한 작문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중심의 전이현상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언어의 능숙도와 텍스트의 일관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중심화 이론에 대해 고찰하였고, 실험을 위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경기도의 P고등학교 1학년 한 학급 35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학생들에게 두 개의 주제를 각각 제시하여 영어와 한국어로 자유 작문을 한 후, 본인의 작문을 다시 영한, 한영으로 번역하게끔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 능숙도 평가를 위해 이전 학년 영어 성적에 대한 설문 문항을 삽입하였다. 일주일의 자료 수집후 일부 작성이 누실되어 분석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16건의 자료를 제외하고 나머지 작문 자료들을 중심화 이론의 중심전이 토대 하에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영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에서 실현된 중심전이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 작문에서 중심이 지속으로 실현된 비율이 영어작문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즉, 언어의 능숙도 여부가 텍스트의 일관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둘째, 성적에 따른 영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의 중심전이 비교 분석 결과 해당 언어의 성적이 높을수록 텍스트의 일관성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첫 번째 결론을 보다 뒷받침 해주기 위해서 영어 성적이 상위권 그룹과 전체 그룹, 중하위권 그룹과 전체그룹 그리고 영어 상위권과 중하위권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 간의 결과를 다시 비교하였다.
결과는 영어 성적이 상위권인 그룹의 중심전이의 지속 비율이 전체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중하위권 그룹의 중심전이 지속 비율이 전체 그룹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어 성적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간의 대조에서는 상위 그룹의 중심전이 지속 비율이 중하위 그룹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 결과 그룹을 영어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한국어 작문에서의 일관성 역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가 능숙한 학생들의 경우 한국어 능숙도에 따라 한국어 작문의 일관성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성적 상위권 그룹 중 한국어 성적도 상위권인 그룹과 중하위권인 그룹으로 나누어 실현된 중심의 전이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영어의 능숙도가 높은 학생들의 경우에 있어서 국어 성적이 낮으면 한국어 작문에서 중심이 지속으로 실현되는 비율 역시 낮아져 일관성이 결여된 작문을 구성해 낸다는 결론이 나왔다. 아울러 영어의 능숙도가 낮은 학생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국어 성적이 높으면 일관성 있는 한국어 작문을 구성해 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성적에 따른 중심전이의 분석에서도 언어의 능숙도가 높을수록 더욱더 일관성이 높은 글쓰기를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즉, 해당언어의 능숙도가 그 언어로 구사되는 텍스트의 일관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뒷받침해주는 결과였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언어의 능숙함 여부가 텍스트의 일관성과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가설의 단계에서 텍스트를 일관성 있게 전개하는 능력은 논리적인 사고력과 부합하므로 해당 언어 구사능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하였지만, 이러한 텍스트의 전개능력은 언어 자체를 구현하는 능력을 배제하고 생각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글을 쓸 때에는 그에 따른 인지적인 노력이 수반되는데 해당 언어의 능숙도가 떨어질 경우, 즉 한 문장 한 문장 구현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화자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글을 매끄럽고 일관성 있게 전개하기 위한 노력을 상대적으로 덜 기울이기 때문이다.
셋째, 성적에 따라 번역 과정에서 실현되는 중심 전이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영어의 능숙도가 영어 텍스트 자체의 일관성 구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시 영어가 능숙할 수록 번역된 한국어 텍스트 역시 일관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언어의 능숙도와 텍스트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이전에 도출된 결론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의 능숙함이 번역된 이후의 텍스트에서의 일관성에도 영향을 주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그 원인은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영어의 능숙도가 떨어질 경우 번역본 자체에서 글의 전개와 주제에 대한 생각보다는 문장을 하나씩 직역해 나아가는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즉, 이전 문장과 다음 문장 간의 내용적인 연결성을 고려하지 않고 초기 작성된 영어 문장들을 한국어로 만들어 가는데 집중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전체적으로 일관성 없는 번역본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넷째, 성적에 따른 중심 실현의 위치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영어 성적과 국어 성적이 상위인 그룹이 중하위 그룹보다 중심이 목적어보다 주어에서 더 높은 비율로 실현되었다. 즉, 해당 언어가 능숙할수록 구정보/신정보 원칙에 근거하여 더 일관성 있는 텍스트의 양상을 보였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에서 나타나는 영조응에 대한 분석에서는 이미 검증된 사실대로 영조응의 실현 비율이 학생들의 영어 작문보다 한국어 작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작문에서 실현되는 영조응의 비율은 국어 성적 상위 그룹이 중하위 그룹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즉 한국어 구사 능력이 뛰어날수록 학생들의 한국어 작문에서 자연스럽게 영조응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일관된 담화나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언어의 사용에 대한 능숙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국 텍스트란 문장들 간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문장 간의 연결과 관심 상태를 일관성 있게 유지시키기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장 구성에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