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청과 광주광역시청, 공영버스터미널 등 주요 기관의 이전과 부도심 개발로 인해 침체기를 맞고 있던 대인시장은 2008년 제7회 광주비엔날레 공공미술 현장 프로젝트인 복덕방 프로... 전라남도청과 광주광역시청, 공영버스터미널 등 주요 기관의 이전과 부도심 개발로 인해 침체기를 맞고 있던 대인시장은 2008년 제7회 광주비엔날레 공공미술 현장 프로젝트인 복덕방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 공간으로 주목 받았다. 이후 2009년부터 8년간 진행된 대인예술시장프로젝트는 예술과 시장의 상생이라는 과제를 수행해나가며 예술의 창작과 생산, 소비가 이루어지는 예술 유통시장의 설립, 그리고 시장의 상업기능 복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비어있던 공간들이 새로운 공간으로 변해가면서 공간에 대한 수요가 급등하자 임대료는 상승하기 시작했고, 이에 부담을 느낀 예술가들의 이탈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시장이 대인예술시장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과정에서 구성 주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판단, 문헌연구와 심층 면접을 통해 그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한 국내의 다양한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사례와의 비교는 대인예술시장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는 과정이었다. 대인예술시장은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중에서도 진화기, 즉 예술가의 이탈이 진행되는 과정에 놓여있다고 보인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학로와 홍대의 사례처럼 특화 요소의 이탈로 인해 지역 정체성을 상실하고 지가가 하락하는 쇠퇴기에 접어들 것이라 예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인시장 내부 공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인예술시장의 경우 예술가의 이탈과 청년 상인의 유입이 교차되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홍대나 대학로의 사례처럼 거대 자본의 유입과 예술가의 이탈로 지역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낙후되는 것이 아니라 제 3의 정체성이 도래할 여지가 발견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인예술시장은 여타의 사례들과는 조금 다른 형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델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인예술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주체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의 결과 문화예술가 집단과 청년상인 집단의 행동 변화는 뚜렷하게 다른 이유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예술가 집단은 야시장의 성공과 더불어 상업화 되어가는 분위기, 환경의 변화, 임대료의 상승을 이유로 시장을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상인 집단의 경우 야시장의 성공에 힘입은 유통 구조의 성립과 고객의 확보, 홍보의 용이함, 비교적 저렴한 임대료를 이유로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처럼 장소의 변화는 주체들의 인식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주체들의 변화는 또 다시 장소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순환 구조를 바탕으로 대인시장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서 마련해야 할 정책적인 지원이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The Dae-in Market, which had suffered a downturn due to the relocation of major institutions such as Jeollanam-do Offic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and Public Bus Terminal,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culture and art space through the project ... The Dae-in Market, which had suffered a downturn due to the relocation of major institutions such as Jeollanam-do Offic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and Public Bus Terminal,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culture and art space through the project of the 7th Gwangju Biennale public art project in 2008. Since then, the arts market project, which has been held for eight years from 2009, has shown the potential for the win-win relationship between arts and markets, the establishment of an art distribution market in which the creat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rts can be realized, and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commercial functions in the market. However, as vacant spaces changed into new spaces, rents began to rise as the demand for space skyrocketed, and the departure of the artists who felt burdens began. In this study, the study focused on the lack of existing research and behavior in the study of the new identity of the Dae-in market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a new identit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identity market. The comparison with the case of various gentrification-led gentrification in Korea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as an objective index of how the Dae-in art market is changing. The art market seems to be in the process of escape from the evolutionary period, that is, the artist, during the culture-driven gentrification process.As time goes by, it is expected that the departure of specialization factors like the case of Daehakro and Hongdae will lose local identity and land price will decline.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ae-in market,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Dae-in art market, the departure of the artist and the flow of the youth merchant are crossing each other. Like the case of Hongdae or Daehangno, the inflow of giant capital and the departure of the artist are not the cause of the loss of the local identity, but the existence of the third identity is found. In conclusion, the Dae-in art market is experiencing a different kind of gentrification process than other cases, and new modeling is needed to interpret it. As a result of the intensive interviews with the subject of self-reliance in the Dae-in arts market, it was apparent that the cultural artists and the youth group groups are showing signs of a different reason. The group of cultural artists is rapidly moving out of the market because of the booming night market, the changing atmosphere of the environment, and the rising costs of renting a house. However, for the younger generation, they answered, " We are approaching the Dae-in marke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rket, securing the market, gaining access to the market, and selling relatively cheap rents. " Changes in these places alter the perception of self and behavior, and changes in the subject affect the place again. Based on this cycle, it is meaningful that the transition structure is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Dae-in marke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olicy support or a new model for the formulation of a new model.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