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 unit of converging social studies with art, physical education subject based on court music in Choseon era by applying backward design model in order to help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by elementary school 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 unit of converging social studies with art, physical education subject based on court music in Choseon era by applying backward design model in order to help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music being transformed depending on historical course together with social, cultural trend at that time by breaking away from a class method of simply memorizing musical fact or practicing performing skill in order to ensure proper musical learning. Through diversified musical experience and activities. learners are required to discover and continuously understand what kind of significance music provides not only to themselves but also to social,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learners. Therefore, in this thesis, as a method of helping learners' true understanding, backward design model that has been known to be a backward design or understanding based curriculum is intended to be utilized in music class of elementary school 6th grade. Backward design model(Understanding by Design: UbD) is a curriculum design method being focused on in-depth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it was suggested by Wiggins and McTighe(2008a). They considered that effectiveness of curriculum, evaluation and class design is determined by academic achievement desired by learners who are educational customers. While existing class design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goal→class→evaluation, in backward design model, a class is insisted to be designed in the order of goal→evaluation→class by changing its order because students could arrive at learning goal more conveniently by designing learning course based on proper evaluation criteria fit for a goal. Teaching guide plan of 5th session being suggest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so that why such event was important, what was its implication and its artistic flow that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document recording such event could be understood more conveniently through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ased on a historical event being performed in Choseon era. In a learning process, students could understand its contents more conveniently through musical activity being linked with other art activity. School curriculum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so that individual concern or experience, knowledge could be applied when creating, performing and appreciating music by linking it with musical process to be unfolded in their life even after learning.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flexibly converging learning contents could be expected by contextually understanding knowledge relevant to music under various integrative thinking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국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조선시대의 궁중음악을 중심으로 사회과와 예술·체육과의 융합수업 단원을 개발하는 데 있다. ... 본 논문의 목적은 국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조선시대의 궁중음악을 중심으로 사회과와 예술·체육과의 융합수업 단원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음악에 대한 배움이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음악적 사실을 암기하거나 연주의 기술을 익히는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역사의 흐름을 따라 형태를 달리 하며 존재해 온 음악을 당시의 사회·문화적 흐름과 함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는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활동을 통해 음악의 의미가 자신은 물론이요, 학습자 주변의 삶과 사회·문화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발견하고 영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역행설계 또는 이해 중심 교육과정으로 알려진 백워드 설계 모형을 초등학교 6학년 음악과 수업 설계에 활용하고자 한다. 백워드 설계 모형(Understanding by Design: UbD)은 학습자의 심층적 이해에 초점을 두는 교육과정 설계 방법으로 Wiggins와 McTighe(2008a)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들은 교육과정과 평가, 그리고 수업 설계의 효과성은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가 바라는 학습의 성취로 결정된다고 보았다. 기존의 수업 설계가 목표→수업→평가의 순으로 이루어졌다면, 백워드 설계 모형에서는 학습과 평가의 순서를 바꾸어 목표→평가→수업의 역순으로 수업을 설계할 것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목표에 맞는 적절한 평가 기준을 세워 그 기준에 알맞은 학습을 설계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수월하게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5차시의 수업지도안은 조선 시대에 시행되었던 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당시 그 사건이 왜 중요했는지, 그에 담긴 의도는 무엇이었는지, 그 사건을 기록한 문서를 통해 알 수 있는 예술의 흐름은 어떠했는지 등을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른 예술 활동과 연계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보다 수월하게 내용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학교교육과정은 학습 이후에도 그들의 삶 속에서 펼쳐질 일련의 음악적 과정에서 개인의 관심 혹은 경험, 지식 등을 연결시켜 음악을 창작하고 연주하며 감상할 때 적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여러 가지 통합적인 사고활동 속에서 음악을 둘러싼 다른 지식들을 맥락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유연하게 융합하는 사고력과 창의성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