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빠르게 얻고 처리하며 외국인들과 자유롭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인 영어를 학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영어 교육에서는...
여러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빠르게 얻고 처리하며 외국인들과 자유롭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인 영어를 학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영어 교육에서는 의사소통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을 중심으로 실제 상황에서 외국인들과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활동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실제적인 자료, 과업, 언어 등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통해 언어의 4기능을 통합한 수업이 권장되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유의미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타 교과와의 융합수업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교과융합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영어 교과에서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더욱이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융합수업에 대한 연구 역시 많지 않다. 또한 담임교사가 여러 과목을 지도하는 초등학교와는 달리 교과 간 경계가 분명한 중·고등학교에서는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이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과융합수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어 교과에서의 교과융합수업 적용 방안을 연구하고 교과융합수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4주간 실시되었다. 66명의 학생을 전통적 읽기 수업 집단, 교과융합수업 집단, 그리고 코티칭(co-teaching) 교과융합수업 집단으로 나누어 각 수업 방법에 따라 영어 읽기와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수업 집단을 다시 상위 및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교과융합수업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하였다.
통제집단은 텍스트를 읽고 이를 한국어로 정확하게 번역하는 전통적 읽기 수업을 실시한 집단으로 읽기에 앞서 배경 지식을 제공하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았다. 두 실험 집단은 교과융합수업을 실시한 집단으로 영어 교사가 단독으로 수업을 한 집단과 역사 교사와 코티칭을 실시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중심 교수법의 주제중심 모형을 수정·적용한 영어와 역사 교과융합수업을 실시하여 타 교과 시간에 영어 텍스트의 배경 지식을 학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차이와 영어 교사 단독 교과융합수업과 코티칭 교과융합수업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융합수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점수에 대해 통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두 평가에서 모두 교과융합수업을 실시한 두 실험 집단의 점수가 전통적 읽기 수업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융합수업이 전통적 읽기 수업에 비해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교과융합수업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상위 및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점수에 대해 통계 분석한 결과, 각 수업 집단의 하위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통적 읽기 수업 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고 사후 분석 결과에서도 다른 두 실험 집단과 이질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유형에 따라 분석해 보았을 때에도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 하나 더 주목할 점은 집단 내 사전 및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전통적 읽기 수업 집단은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비해 낮았고 두 실험 집단은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하위 영어 학습자들에게 있어 교과융합수업이 전통적 읽기 수업에 비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교과융합수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 점수를 분석한 결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영어 읽기에 대한 학습 태도, 그리고 배경 지식의 중요성 인식 영역에서 교과융합수업을 실시한 두 실험 집단의 점수가 전통적 읽기 수업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융합수업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측정한 결과 두 실험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 내 사전 및 사후 점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영어 수업에서의 효과에 대한 문항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융합수업을 통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시사한다. 사후 서술식 개방형 설문에서는 대체로 교과융합수업은 재미있었다는 반응이 많았다. 그리고 영어 텍스트를 읽기에 앞서 역사 교과에서 조선 후기 문화의 전반적인 특징을 학습하여 배경 지식을 습득한 것이 영어 읽기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역사 교과에서 학습한 내용을 영어로 번역한 자료나 학생들이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하기 위해 조사한 인터넷 영문 자료에서 학생들의 수준 보다 어려운 어휘가 일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어렵게 느꼈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과융합수업을 적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하위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융합수업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고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태도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준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과융합수업을 통한 배경 지식의 제공 및 활성화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만큼 앞으로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융합수업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상위 및 하위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교과융합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코티칭 교과융합수업 집단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코티칭 교과융합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