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학년 남학생의 읽기 발달 연구 :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by looking at aspects of reading development of boy students, focusing on affective domains. Specifically, 6 elementary school boy students participated in it as subjects, and qualitative research wa...

This study aims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by looking at aspects of reading development of boy students, focusing on affective domains. Specifically, 6 elementary school boy students participated in it as subjects,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m while they were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 the researcher was their homeroom teacher during the period. It focused on aspects of development of reading recognition, reading attitude, reading preference among affective domains, an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boy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have already had solidified reading recognition. They tended to think that they should make an effort to read, as they recognized reading as reading for learning, rather than for leisure. Also, active boy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said that they found reading boring and uninteresting, recognizing reading as a certain activity - reading alone silently with a correct posture - rather than as communication through rea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realize that a reading activity does not merely mean reading silently at a library but there are many things to read everywhere and to provide programs through which they can have pleasant reading experiences. They opined that many of reading-related occupations are related to feboys, giving a reason that most of those who can be exposed to books are febo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reading as culture. That is, reading is something anyone can enjoy, not something only for feboys or boys. Second, the boy students displayed a negative attitude to reading after they finished second grade and went onto third grade; and their attitude to reading was worse than feboy students'. As for specific factors in the boy students' reading attitude, there was a modest improvement in cognitive factors relevant to belief in reading or effectiveness of reading or there was no big change in the cognitive factors, while as for emotional factors (emotions of liking and disliking reading) or behavioral factors (borrowing a book himself), negative changes were seen. This is the reason why their reading attitude changes negatively - they can have less opportunities to have reading experiences (i.e. exposure to books) than the feboy students, as school reading programs (e.g. reading camp) are often made up of activities feboy students like (e.g. making something, cutting out something, drawing someth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boy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itiatively in reading experiences and reading programs created with consideration of propensities of boy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nd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have more time to read, considering that after they become third graders, they lack time to read. Third, after the elementary school boy students finished second grade and went onto third grade, no distinct difference in reading preference was shown. Narrative genre was their favorite - adventure, imagination, etc. - and science-related books were their second favorite books. It could be seen that compelling them to read various book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ir personal preference, can affect them negatively;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read a little more deeply the genres of books they like. Even after they became third graders, they still preferred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with many illustrations or comic books; but they came to decide to read thick books of prose, thinking that they have now become third graders, whether it is their own decisions or they were encouraged by someone significant to do so.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sufficient opportunities to explore reading materials printed in various forms of media, rather than recommending thick books of prose to them, only thinking that they are now in a certain grade without consideration of their reading skills or personal prefer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by looking at phases of reading development of boy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in the education field it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their positive attitude to reading.

연구연구자가 2학년부터 3학년까지 담임한 남학생 6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를 함으로정의영역중심으로 남학생의 읽기 발달의 양상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

이 연구는 연구자가 2학년부터 3학년까지 담임한 남학생 6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를 함으로써 정의영역중심으로 남학생의 읽기 발달의 양상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의적 영역 중에서 읽기 인식, 읽기 태도, 읽기 선호도의 발달 양상을 중심으로 살폈으며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 남학생들은 이미 고착화된 읽기 인식이 형성되어 있었다. 읽기를 여가적 목적 보다는 학습적인 목적의 읽기로 인식하여 읽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읽기란 읽기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홀로 조용히 바른 자세로 읽는 활동으로 인식하여 활동적인 성향의 저학년 남학생들은 읽기는 심심하고 재미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읽기 활동이 도서관에서 조용히 읽는 것뿐만 아니라 도처에 읽을거리가 많다는 인식과 즐거운 읽기 경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읽는 것과 관련된 직업은 여성과 관련된 것이 많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어 읽는 것이 여성 또는 남성의 것이 아니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것이라는 문화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남학생들의 읽기 태도는 2학년에서 3학년으로 되면서 부정적으로 발달하였으며, 여학생에 비해 읽기 태도가 낮았다. 읽기 태도의 세부적인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읽기에 대한 신념이나 효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은 다소 향상되거나 큰 변화가 없는 것에 비해 읽기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감정인 정서적인 요인이나 스스로 책을 빌리는 행동적인 요인의 경우 부정적으로 변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읽기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하는 원인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프로그램이 만들기나 오리기, 그리기 등 여학생들이 좋아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아 여학생들에 비해 책을 접할 수 있는 읽기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들 수 있다. 저학년 남학생들이 배우는 성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남학생들도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읽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3학년이 되면서 시간의 부족으로 책을 읽을 시간이 없는 것을 들어 읽기 시간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읽기 선호도의 차이는 뚜렷이 보이지 않았다. 모험이나 상상과 같은 서사 장르를 가장 선호했으며 과학과 관련된 책들을 두 번째로 선호하였다. 남학생의 선호도를 지지하지 않고 무리하게 책을 골고루 읽게 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으며 좋아하는 분야를 좀 더 깊게 읽을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남학생들은 3학년이 되어서도 그림이 많은 정보가 담긴 책이나 만화책을 선호하였으나 의미 있는 타자나 남학생 스스로도 3학년이 되었으니 줄글로 된 두꺼운 책을 읽어야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읽기 능력이나 선호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학년이 되었다고 하여 두꺼운 줄글 책을 권유하기 보다는 다양한 매체의 읽기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저학년 남학생들의 읽기 발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남학생의 긍정적인 읽기 태도를 기르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