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료 해석을 통한 문자 조형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서예는 문자를 소재로 하여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이다. 서예는 점, 선, 그리고 획의 태세와 장단, 필압의 강약과 가벼움과 무거움, 붓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지속 정도, 먹의 농...

서예는 문자를 소재로 하여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이다. 서예는 점, 선, 그리고 획의 태세와 장단, 필압의 강약과 가벼움과 무거움, 붓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지속 정도, 먹의 농담, 문자간 비례와 균형을 통하여 조형성을 표현한다. 동양 문화에서의 서예는 독립된 예술 장르이나 문학, 회화와 떼어놓고 설명하기 어렵다. 이는 서예의 근간을 이루는 한자가 사물의 형상을 본 따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한편, 서예는 문자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그것이 갖는 사전적 의미와 그에 따르는 문화적 관념을 그 바탕으로 삼게 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는 통신과 미디어의 발달로 그 구성원이 속한 문화가 고도화되고 다양화 되었으며 또한 세계화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 방식의 서예는 창작자가 속한 문화 환경을 벗어나 감상자에게 전달될 때 그 의미를 온전히 전달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의 서예는 캘리그래피 등 다양한 흐름을 만들어 오고 있다. 그러나 문자의 형성 및 발달과정과 서예 조형성의 근간을 살펴볼 때, 이는 서예의 아름다움을 온전히 전달한다고 보기 어렵다. 현대의 대중과 소통하기 위한 서예의 분화과정은 동양의 가치관을 따르고 있지 않으며 설익은 서양의 개념이 뒤섞인 양태를 보인다. 따라서 소통 가능한 현대의 서예는 생성과 발달 당시의 원리에 입각한 자체의 아름다움을 회복한 표현이 필요하다고 본다. 후설 현상학에 있어 질료로서 간주되는 작품의 재료는 문방사우로 형식화 되어 있는 서예와 한국화의 재료들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재료들의 형성 과정과 사용 목적을 다시금 돌이켜 고찰하고 질료 자체의 의미를 간직한 작품의 구성요소로서 감상자에게 전달하고자 시도되었다. 먹(墨)과 한지의 경우, 본연의 의미를 간직하면서 새로운 의미전달이 가능한 방법을 고민하였다. 먹은 본래 그을음을 모은 것으로 고온에서 그을음이 빠져나간 물질인 숯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담은 표현을 시도하였다. 한지 역시 그 원료가 되는 순수한 닥의 백피만을 걸러 주조하여 형상을 얻어내는 방법으로 닥 자체가 갖는 의미를 극대화 하려 하였다. 또한, 작품의 제작에 있어 파생된 문자의 생성과 소멸의 문제를 모티브(motive)로 하였다. 제작 과정에서 새롭게 해석된 재료의 사용 이외에 새로운 조형을 통한 표현이 필수적이었으며, 문자조형의 근간인 점과 횡획, 종획의 기본적 형태를 끊임없이 반복하였다. 원본을 제작하고 이를 반전하여 주조 틀을 만들어 다시 이를 통해 작품을 주조해 내는 과정 속에서 문자는 쪼개지고 사라짐을 반복하며 새롭게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과 작가의 상호작용은 문자의 지시적 의미, 즉 기표로서의 의미를 전환시키고자 함에 다름 아니며 창작물로서의 문자라는 확장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Calligraphy is a form of art where formative beauty is sought with the use of written language. In calligraphy, formative beauty is expressed through dots, lines, brushstrokes, a sense of rhythm, variations in the pressure of brush application, lightn...

Calligraphy is a form of art where formative beauty is sought with the use of written language. In calligraphy, formative beauty is expressed through dots, lines, brushstrokes, a sense of rhythm, variations in the pressure of brush application, lightness and heaviness, degree of continuity in the brush movements, light and shade, and proportion and balance among the written characters. In Eastern culture, it is difficult to explain calligraphy without discussing literature and paintings, even though it is an independent art genr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inese characters, forming the basis of calligraphy,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hapes and appearances of object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subject of calligraphy is written language, it has limitations in a sense that it becomes restricted to the hyle of the words and the cultural connotations associated with them. With the advances made in communications and media technology, human society has become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while at the same time different cultures have become more integrated through globalization. Amidst these trends,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convey the intended message to an audience that has become broader, using the traditional form of calligraphy,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Under this context, various new trends have arisen in relation to calligraphy. However, consider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lphabetic characters and the basis for the formativeness of calligraphy,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modern styles of calligraphy present the beauty of calligraphy in its entirety. Diversification of calligraphy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sses in modern times is not being pursued while following Eastern values, and the new styles present a mix of Western concepts that are undeveloped. Thus,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means of expression that restores the original beauty of calligraphy, predicated on the principles applied at the time of forming and developing this art form, while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the masse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Munbangsau (brush, ink stick, ink stone, and ), which are the typical materials used in calligraphy and Eastern paintings, are the hyle described in phenomenology founded by Edmund Husserl, and these materials were re-examined in relation to their formation processes and purpose of use. An attempt was made to maintain their significance as hyle, while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artwork as its constituents, to be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Also, means to maintain the essential significance of the key materials, ink and hanji (traditional Korean ) and to deliver them in a new fashion were examined. Ink stone, in particular, is made with soot, and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 new form of expression that embodies a new meaning using charcoal where soot has been extracted at high temperatures. Also, an attempt was made to obtain hanji, by extracting only white bark from pure mulberry and to maximize the significance of mulberry itself. Based on these attempts, the motive was to examine the issues of characters being generated and ceasing to exist when it comes to producing calligraphic works. In the production process, it was essential to express through new forms, in addition to using newly interpreted material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basic forms of characters such as dots and lines were repeatedly used. After producing an original copy, it was reversed and a frame was made. Then, amidst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k, the characters became fragmented and disappeared repeatedly before newly emerg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rtist and the work during this process are no different from the attempt to change the referential meaning of the characters, i.e. their meaning as symbols, and may have an expanded meaning of characters as the being products of creation.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