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tarted from the attention to late-modernism’s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exposing of subjective thinking, unlike general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representing objective form of th...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ttention to late-modernism’s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exposing of subjective thinking, unlike general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representing objective form of the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revealing that architectural drawing using parallel projection of late-modernism has expanded potential as representation method with artistic values by notating objective form of the space and further reveal subjectivity ideas.
Architectural drawing covers all drawings reflected diverse purpose, forms and projections, from rough sketches to plan spatial conception to blueprints for construction. In this study, meaning of the architectural drawing contains drawings had drawn to express architects’s ideation of space and design output and communicate the ideas to others without blueprints under the promise of construction. The Study purpose artworks and architectural drawings to examine over flows of architectural drawings using parallel projection. The drawings for example contains art paintings which represented space on plane, because there was not clear classification between art drawings and architectural drawing before modern times. The drawings for example which drawn after modern era are late-modern architect’s drawings after 1970’s which represented realistic architecture forms, also with conception of the architect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and context of the drawing represented by parallel projection, the study analyzed diachronic aspects of transition following the flows of times and synchronic background following the social culture through art paintings and architectural drawings. Representing the world on the plane has been influenced by societal dimensions. Parallel projection is the method representing the objective form and figure with multi-viewpoint. And parallel projection was applied to the drawings of premodern eras when the absolute norm had priority over human. The drawing reconstruct the space on the plane following absolute norm to reveal the absolute values such as eternity, god or ideal concept of architecture. Events and times expressed in represented space are both fixed in time.
Architect of postmodernism thought there is no absolute method to represent architecture, and they reconstructed their own ideas and experiments through parallel projection drawings. Whe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rallel projection drawing by Peter Eisenman, Bernard Tschumi and John Hejduk,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were 'transforming spac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he space intervened by time through incident development’ and‘the space to chan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meeting way of the observer and the free-flowing time from the order.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llel projection drawing hav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artistic value by space-time extensibility.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공간의 객관적 형태 재현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달리 후기모더니즘 작가들에 의해 주관적 사고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됨에 주목한 것을...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공간의 객관적 형태 재현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달리 후기모더니즘 작가들에 의해 주관적 사고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됨에 주목한 것을 배경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후기모더니즘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공간을 재현하는데 객관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것에서 나아가 주관적인 개념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예술적 가치를 가진 표현방식으로 확장된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건축드로잉은 공간 기획을 위한 밑그림에서부터 설계를 위한 도면까지 다양한 목적과 형태 그리고 투시도법을 사용한 드로잉들을 포괄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건축드로잉은 시공을 전제로 설계도면으로 사용되어 온 드로잉을 제외하고 작가가 디자인하고자 하는 공간의 개념 및 결과물을 표현하고 그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로서의 드로잉을 범주로 한다.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회화의 드로잉과 건축드로잉의 구분이 없었던 근대 이전의 사례로 공간이 평면상에 재현되어있는 작품들을 포함하였다. 근대 이후의 건축드로잉 사례로는 1970년대 이후 건축의 현실적 재현뿐만 아니라 실재적 의미를 표현하고자 했던 후기모더니즘 건축가들의 작품을 선정했다.
평행투상으로 재현된 드로잉의 특성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른 통시적 변화양상과 사회문화에 따른 공시적 배경을 회화작품 및 건축드로잉을 통해 분석하였다. 세상을 평면에 재현하는 것은 사회적 차원에서 영향을 받아왔으며, 다시점을 갖고 객관적인 형태와 수치를 표현하는 재현 방법인 평행투상법은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에는 절대적 가치가 인간에 우선하는 시대의 드로잉에 적용되었다. 영원과 신, 이상적인 건축 등의 절대적인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절대적인 규범을 따라 공간을 평면상에 재현했으며, 재현된 공간에 표현되는 사건과 시간은 고정되어있는 시간이다.
후기모더니즘 건축가들은 건축을 재현하는 것에 대한 절대적인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으며, 개개인의 관점과 실험들을 평행투상 드로잉을 통해서 재현하였다. 후기모더니즘 건축가인 피터 아이젠만, 베르나르 츄미, 존 헤이덕의 평행투상 드로잉을 분석했을 때, 기존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들의 공간의 사건과 시간이 고정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각각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형되는 공간, 사건의 전개를 통해 시간성이 개입된 공간, 관찰자와의 조우 방식과 질서로부터 자유롭게 흐르는 시간에 따라 인지가 바뀌는 공간이라는 특징들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객관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은 시공간적 확장가능성을 통해 주관적 예술성이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인간이 실재를 평면상에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인간의 시지각을 통해 알아본다. 이를 토대로 시대상에 따라 실재를 평면상에 재현하는 방법들의 흐름을 살피고, 시대마다 다른 사회적 요인이 재현 방법에 가져오는 차이를 확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을 고찰하기에 앞서 평행투상법과 건축드로잉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을 형성한다. 공간과 실재를 재현하기 위해 평행투상이 사용되었던 방법들과 그 의미를 확인하며, 건축에서의 건축드로잉의 역할과 평행투상 드로잉으로 재현된 건축공간이 가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근대 이전과 근대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평행투상으로 재현된 공간들이 표현되고 있는 방법과 그려진 시기들의 시대상을 통해 평행투상이 사용된 원인과 그를 통해 발현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확인한다. 이렇게 분석된 평행투상으로 재현된 드로잉의 특성과 맥락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한다.
제 4장에서는 후기모더니즘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이전 시대들과는 달리 주관적 특성을 갖게 되는 배경을 후기모더니즘 건축의 사상적 배경에서 찾고, 후기모더니즘의 대표적인 건축가들의 평행투상 드로잉을 분석한다. 분석을 토대로 후기모더니즘 건축드로잉들에서 과거와는 다른 재현 방법 혹은 특성을 가지고 평행투상을 활용해 건축드로잉에서 주관성이 발현되고 있음을 도출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