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탑 코리아타운과 심양한국주 축제의 지식맵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서탑 코리아타운과 심양한국주 축제의 지식연구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인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조선족집거지에서 코리아타운으로 발전해 왔다. 중국의 대...

서탑 코리아타운과 심양한국주 축제의 지식연구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인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조선족집거지에서 코리아타운으로 발전해 왔다. 중국의 대도시마다 코리아타운이 형성되고 있고 북경 왕징의 경우 서탑보다 한국인의 거주 및 활동 수는 많으나 서탑 만큼 오랜 역사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서탑은 중국내 최고, 최대의 코리아타운으로 불리고 있다. 서탑가(西塔街)를 중심으로 좌우에 조선족과 한국인이 거주하는 주거지역들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이들 조선족과 한국인들이 운영하는 상가와 사무실들이 밀집되어 있어 중국 속의 한민족 집거지(enclave)가 형성되어 있다. 서탑지역에는 조선족 학교와 서점, 병원, 식당뿐만 아니라 한국인이 직접 운영하는 한국인식당, 커피숍, 백화점, 단체들도 많다. 그리고 아울러 북한식당도 중국 내에서 제일 많은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1997년부터 시작된 IMF의 여파로 서탑가의 한국인들이 사업의 실패로 한국으로 되돌아가는 현상도 일어났다. 서탑가의 상가나 사무실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1994년 최초로 서탑가에 한식당 백제원이 개원을 하고, 이어서 경회루, 신라성 등 한식당이 우후죽순 들어섰지만, 현재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2016년 현재의 서탑 코리아타운 모습뿐만 아니라 1992년 한중수교 이후의 변화 양상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즉,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 속의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디지털 콘텐츠(아카이빙)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에스닉타운은 유기체와 같아서 변화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에스닉타운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것이 ‘에스닉 축제’이다. 현재 심양의 한민족 축제는 크게 두개의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심양한국주 축제와 심양조선족민속절 그것이다. 심양조선족민속절은 심양조선족연의회와 심양조선족문화예술관에서 주최하고, 심양한국주는 심양시정부와 주심양한국총영사관에서 주최하고 있다. 이번에 연구자가 기록하고 지식맵을 구축하려고 하는 심양한국주 축제는 2002년 1회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14회를 개최했고, 2012년 ‘심양한국주 및 서탑미식문화절’로 명칭이 바뀌면서 심양시 화평구 서탑가도판사처와 심양한국인(상)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서탑 코리아타운의 한민족 축제로 거듭나고 있다. 한편, 2006년 무렵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한 ‘심양현상’은 단순히 심양의 기업인들이 문화예술 등 민간단체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에 그친 것이 아니라, 심양의 조선족사회와 한국인사회의 조화로운 결합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따라서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에서 개최되고 있는 ‘심양현상’으로서의 심양한국주 축제 연구는, 오늘날 선착 한민족인 조선족과 후착 한민족인 한국인 간의 협력과 공동 발전이 필요한 시점에서 중국 내 다른 코리아타운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심양한국주(2002년〜2015년)는 심양시정부와 주심양한국총영사관이 주최하는 축제로써 한민족의 민족정체성과 민족문화를 잘 나타내고 있는 국가급 축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2002년도에 시작된 이후, 북경, 청도 등 중국의 다른 지역 한국주의 모델이 되었다. 그러므로 심양한국주를 비롯한 서탑 코리아타운에서 일어난 행사/사건과 그 배경, 또 그 담당자인 주요 인물 등을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분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지식맵(위키백과 편찬과 전자문화지도)으로 구축하는 것은 바로 한민족문화의 자원화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서탑 코리아타운 심양한국주 축제의 지식맵 구축은 한민족사회의 지역축제 기획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식맵이 갖는 관계성은 스토리텔링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식맵은 코리아타운의 재생 혹은 발전을 위한 문화콘텐츠 기획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로 기능할 수 있겠다.

A Study on Knowledge Map of Xita Koreatown and Shenyang Korean Week Festivals Xita Koreatown in Shenyang has been developed from an ethnic Koreans’ enclave to Koreatown because many South Koreans rushed into the pla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