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focusing on whether the present curriculum for immigrated children is helpful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Korean which is necessary for their regular school admission and their life in Korea,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need analysis for cu...
By focusing on whether the present curriculum for immigrated children is helpful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Korean which is necessary for their regular school admission and their life in Korea,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need analysis for curriculum review and design.
After review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institutes which is designed to help the immigrated children to transfer or enter regular school, satisfaction and need analysis of the curriculum was done. Focusing on the curriculums of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 and "Rainbow School" which are the education services for immigrated children, need analysis of its Korean and other subject lessons was implemented by the means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s and students.
First, as for the students' needs for the Korean lesson, hours of Korean lessons in the institutes turned out to be reasonable. On the other hand, needs for the textbook was diverse. And as for the teachers, need for the teachers with Korean nationality was higher than the expectation, but since the students' proficiency was low, need for the bilingual teachers was also high. As for the contents of curriculum, there was a high request in speaking and listening area and vocabulary improve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 difficulties the students meet in Korean lessons and the need for the textbook, and between the need for the textbook and the need for the hours of lesson. Next,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s were that the classes to be properly organized with the students in the same proficiency level, and to schedule many hours due to the students' situation. As for the contents of the lessons, there showed a need that, after acquiring speaking skills, the lessons need to be composed of other subjects and knowledge oriented contents which are necessary for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As for the need of textbook, most teacher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extbook.
Next, according to the need analysis of other subject lessons, since the communication and the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the teachers were cut off because of their poor Korean, there was a need for bilingual teacher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 student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competence in other subject lessons, and between the needs for other subject lessons and difficultness of their school life. The teachers required the classes to be organized with the students in the same proficiency level for the other subject lessons. There was some needs for bilingual teachers. As for the hours, many hours were required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required to be improved for the other subject lesson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on the curriculum, most of the students were not able to think critically and since they have lived in Korea only for a short time, they were unconditionally accepting the curriculum to improve their Korean. So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lesson operating ways, hours of the lessons and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textbooks, and they indicated that there is a lot of difficulties because of the lacking of the lesson hours and with the operation of the lessons, and the teachers with low satisfaction ask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he need analysis conducted i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could provide improvement points for the present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help with new curriculum design. Results of the need analysis of this research might be used as a well-grounded reference for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immigrated children.
본 연구는 중도입국 자녀를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이 이들의 정규학교 진입을 위해 필요한 한국어 능력과 한국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킬 수 있...
본 연구는 중도입국 자녀를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이 이들의 정규학교 진입을 위해 필요한 한국어 능력과 한국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정의 검토와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중도입국 자녀의 정규학교로 편입, 입학을 돕기 위해 진행되는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검토 후에 그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조사를 하였다. 중도입국 자녀를 위한 교육 지원인 ‘다문화 예비학교’와 ‘Rainbow School’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그 속의 한국어, 교과목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을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먼저,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는 현재 속해 있는 기관에서 운영하는 시수는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반면, 교재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였다. 교사에 대해서는 한국 국적의 교사에 대한 요구가 예상보다 높았지만, 학습자의 숙달도가 낮았기 때문에 이중 언어 교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내용에 대해서 구어적 영역에 대한 요구와 한국어 능력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어휘력 향상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변수들의 상관분석 결과, 한국어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교재에 대한 요구, 교재에 대한 요구와 수업 시수에 대한 요구가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사의 요구는 학급을 구성할 때 같은 숙달도에 의한 구성이 적절하고, 수업 시수로는 학습자의 특성상 많은 시간 배정을 필요로 했다. 수업 내용에 대해서는 구어적인 능력을 형성한 뒤, 교과목과 한국문화 이해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보였다. 교재에 관해서 대부분의 교사가 맞춤형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교과목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학습자의 경우 부족한 한국어로 인해 소통과 능력이 단절되었기 때문에 이중 언어 교사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냈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교과목 수업에서의 능력, 교과목 수업에의 요구와 학교생활의 어려움은 각각 상관성을 보였다. 교사의 경우 교과목 수업 구성에서 동일한 숙달도를 기준으로 학급 편성 요구를 보이며, 이중 언어 교사에 대해 약간의 필요성을 보였다. 수업 시수는 많은 시간의 배정과 교과목 수업을 위한 한국어 능력 향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요구를 나타냈다.
학습자와 교사가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 대부분은 아직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없고 한국에 온 기간이 짧아 한국어 실력을 위해서 무조건적인 교육과정 수용 양상을 보였다. 이 때문에 수업 운영 방식, 시수, 교재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함을 보였다. 교사의 경우 교재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고, 뿐만 아니라 수업 시수가 짧거나 수업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나타내며 만족도가 낮은 교사의 경우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요구분석은 결과에 따라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할 점을 제공할 수 있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도입국 자녀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교육과정의 개발 등을 위해 본 연구의 요구분석 결과가 근거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