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얀마의 전통 문화인 연중 축제의 사회적 함의에 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인 미얀마의 연중 축제는 미얀마의 고유한 역법에 근거하여 과거... 본 연구는 미얀마의 전통 문화인 연중 축제의 사회적 함의에 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인 미얀마의 연중 축제는 미얀마의 고유한 역법에 근거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승되어온 것으로 미얀마인들의 삶에 유의미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문화의 집합체로 여겨지는 축제의 양상에는 종교적 배경뿐만 아니라, 고유의 역법 또는 지역의 자연 환경과 지역민들의 생활상과 같은 문화적 요소들이 녹아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축제들은 불교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기준들을 함께 고려하여 미얀마의 연중 축제를 포괄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하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급변하고 있는 미얀마 사회의 흐름에 편승하여 현대사회에서 거행되고 있는 축제의 양상과 이러한 축제의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밝혀냄으로써, 미얀마 사회와 축제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동남아의 전통 축제들을 해석하는데 종교적 측면만을 강조하고 사회의 변동에 의하여 변화되는 축제의 양상 및 축제의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찾아 볼 수 없는데,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미얀마의 연중 축제들은 고유한 역법에 근거하여 거행되기 때문에 미얀마력의 기원 및 미얀마력의 역법체계에 관하여 논하였고, 그러고 나서 연중 축제의 종교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미얀마 연중 축제의 종교적 배경에는 대표적으로 미얀마의 토착 신앙인 ‘낫’신앙과 인도에서 전래된 ‘힌두 점성술’ 그리고 국가 성립의 기틀이 된 '상좌 불교(Theravada Buddhism)'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요소들을 먼저 살펴봄으로써 미얀마의 연중 축제의 개요 및 특징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둘째로 본 연구의 중심의 대상인 연중 축제의 구성을 종교적 배경의 축제와 절기 축제로 범주화 시켰다. 축제의 분류를 시도함으로써 이들 축제가 종교적 배경과 더불어 자연 환경과 같은 요소 및 미얀마인들의 사회생활 전반에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축제를 범주화하여 파악해본 결과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자연 환경적인 요소, 즉 계절의 순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농경 절기 및 지역의 기후적인 요소가 미얀마의 연중 축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위와 같은 일련의 분석 과정을 기반으로 미얀마 연중 축제의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지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불교를 비롯한 종교적 관점과 더불어 절기의 변화와 같은 자연환경 및 사회생활을 고려하여 축제의 현실적 영향력 즉, 사회적 함의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경제 개방 이후 서구 문명의 활발한 유입 이후 세속화의 과정아래 중요한 문화 현상 중 하나인 전통 축제 역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히려 미얀마의 연중 축제는 새로운 사회적 흐름에 편승하여 재창조 되고 있으며, 미얀마의 사회 문화 및 경제의 활성화 측면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 종족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미얀마에 있어서 축제는 종교 즉 불교와 정령신앙에 기초를 두면서도 실질적인 사회형성과 문화적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축제를 통한 경제 분야의 활성화는 미얀마의 특이한 현상으로 여길 수 있다. 미얀마의 연중 거행되는 축제는 인위적으로 거행되는 것이 아니라 미얀마인들의 전통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에서 표현되는 것이며 세속화의 과정 속 에서도 뿌리 깊은 전통 문화의 색채를 보존하며 재창조 되고 있다. 이를 통해 미얀마 사회 문화를 보다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축제 현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