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경제 성장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와 여가활동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로 여가는 전세대 모든 계층으로 대중화되었다. 특히 주 40시간 근무제 ... 국민경제 성장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와 여가활동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로 여가는 전세대 모든 계층으로 대중화되었다. 특히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주 5일 근무제, 주 5일 수업제가 일반화되면서 생활이 주 단위로 변화하고, 저 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와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는 가족중심의 여가형태를 선호하게 되었다. 웰빙(well-being)문화와 자동차 보급의 확대는 오락과 건강이 접목된 가족단위 적극적 여가활동을 가능하게 하였고, 기후환경 변화로 여가활동시설과 공간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여가환경 변화요인에 따라 가족중심의 리조트형 숙박시설은 다양한 여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대시설의 복합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레저시설의 복합화 흐름에서 최근 숙박시설과 워터파크의 접목은 시설간 시너지효과로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건강과 오락을 지향하는 여가활동 흐름에 맞는 가족형 레저시설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조트형 숙박시설 내 워터파크를 대상으로 여가환경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화과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가족단위의 숙박과 취사가 가능한 리조트형 숙박시설 내, 실내·외 물놀이시설을 갖추고, 숙박시설과 연계운영 중인 워터파크 중 11개소를 선정하고, 변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시기를 기준 시점으로 구분하였다. 공간변화과정을 살펴보면 리조트형 숙박시설의 워터파크는 사우나, 수영장에서 시작되어 이후 규모가 확장되면서 스파(spa)와 어뮤즈먼트(amusement)기능을 접목하여 이용자에게 건강과 오락을 제공하였고, 테마성을 가미하여 워터테마파크로 진화한 것으로 주요 공간변화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숙박시설과 운영 시너지효과를 위한 연계형 배치와, 대지면적의 한 계 극복, 건강한 지하 환경조성을 위해 지하 복층다단구성 특성을 보인다. 둘째, 건축 연면적대비 워터파크 면적 점유비중이 높아졌다. 적극적 여가활동으로 워터파크의 수요가 증대되고, 이용층이 확대되면서 독립적 운영이 가능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규모로 변화하였다. 셋째, 실외워터파크 비중이 높아졌다. 지구온난화로 실외 운영기간이 확대 되고, 어트랙션 대형화로 실외워터파크의 비중이 높아졌다. 넷째, 여성전용 시설공간의 비중이 높아졌다. 여성경제활동인구 증가와 사회진출확대로 여성 여가비 지출이 증가하고, 저출산으로 여가시간이 확대되어 여성중심 시설공간비율 또한 높아졌다. 다섯째, 건강지향형 시설기반에 오락지향형 시설이 증가했다. 단순한 풀은 건강과 휴식을 위한 수치료 개념의 기능풀로 진화하고 가족 단위 전세대가 이용 가능한 정적·동적어트랙션이 다양화 되었다. 여섯째, 테마성을 갖는 워터테마파크로 발전하고 있다. 이용자에게 비일상적 체험과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테마를 활용한 스토 리 전개로 단순한 놀이공원과 차별화된 워터테마파크로 발전하고 있다. 일곱째, 노후시설 기능개선을 위한 건축행위는 개·보수에 국한되고, 증축 과 확장변화는 제한적으로 여가환경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국내워터파크는 단기간에 급속한 발전으로 규모와 시설 면에서 세계적 수준에 있으며 다양한 시설들과 복합·연계되면서 시너지효과가 나타나지만, 특정지역의 과잉공급, 초기투자와 추가투자의 부담, 노후화에 따른 성능개선, 여가환경의 이해부족 등으로 시장성장이 잠시 지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워터파크의 짧은 역사와 소규모의 표본개수로 연도별 흐름을 통해 공간의 특징을 단정하기엔 부족함이 있지만 숙박시설과 연계관계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변화방향을 예견하여 국민여가활동의 중요한 축을 담당할 워터파크 복합리조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여가환경, 주40시간 근무제, 리조트형 숙박시설, 워터파크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