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perception to affective prosody and linguistic content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 light of Central Coherence and Stimulus Overselectivity approaches. A computer game was 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perception to affective prosody and linguistic content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 light of Central Coherence and Stimulus Overselectivity approaches. A computer game was employed to present auditory tasks comprised of recombinations of the prosody and content.
Two groups of children who were 15 children with ASD and 15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TYP) matched on Receptive Vocabulary Test ag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erformance on the stimulus perception tes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erceptibility of prosody and content in children with ASD was similar to TYP children.
Second, the content discrimination test performance indicated that both two groups showed comparable discrimination, whereas children with ASD have shown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prosody discrimination test than TYP children. However, children with ASD had no deficit in perceptual ability of prosody.
Third, the preference test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SD revealed significantly their weak Central Coherence in contrast with controls. Children with ASD showed no preference for prosody or content, whereas TYP children have shown a clear preference for content over prosody.
Finally, children with ASD have shown no Stimulus Overselectivity, whereas TYP children were strong overly selective for content.
In conclusion,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istic children'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seem to be linked to weakness in Central Coherence, which are not due to deficit in perceptual discrimination of prosody and conten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commends being concerned about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xt by using richly prosody and content in language intervention of the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validated the S-D program by designing in Korean as a novel experimental paradigm to assess stimulus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정서적 운율과 언어적 컨텐츠(내용)가 조합된 청각 자극을 제시하는 컴퓨터 게임을 활용하여 저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 특성을 중앙통합능력과 반응편향성의 관점에서 ...
본 연구는 정서적 운율과 언어적 컨텐츠(내용)가 조합된 청각 자극을 제시하는 컴퓨터 게임을 활용하여 저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 특성을 중앙통합능력과 반응편향성의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언어연령을 4∼5세로 일치시킨 저기능 자폐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집단 간 자극인지, 운율 변별, 컨텐츠 변별, 중앙통합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집단 내 반응편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율과 컨텐츠가 조합된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저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자극인지 능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텐츠 변별 능력은 저기능 자폐아동이 일반아동과 유사하지만, 운율 변별 능력에서는 저기능 자폐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여주었다. 한편 저기능 자폐아동은 운율 변별 능력 자체의 결함은 없었다.
셋째, 중앙통합능력에서는 저기능 자폐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일반아동은 청각 자극의 변별 선택 시 운율과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우수한 중앙통합능력을 보여주었으나, 저기능 자폐아동은 두 가지 중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자극이 없어 약한 중앙통합능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반응편향성에서는 일반아동이 높은 반응편향성을 보여준 반면, 저기능 자폐아동은 반응편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저기능 자폐아동에게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운율과 컨텐츠의 인지, 변별 능력 자체의 결함이라기보다 약한 중앙통합능력과 더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기능 자폐아동의 언어중재 시 운율과 컨텐츠를 풍부하게 활용하여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언어 능력의 향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로 된 자극 변별 프로그램인 S-D program을 고안하여 새로운 실험 패러다임을 저기능 자폐아동에게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