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남‧부산지역의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관계에서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복지관의 효율적인 조... 본 연구는 경남‧부산지역의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관계에서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복지관의 효율적인 조직운영과 직원관리,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변수 간의 차이 검증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조직문화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근무 경력, 직위, 월평균 수입, 근무지의 유형, 기관 운영형태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자격증 등급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조직성과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결혼여부, 근무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 수입, 사회복지사 자격증 등급, 근무지 유형, 기관 운영형태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 사회복지관의 경우 사회적으로 책무성과 직원들의 전문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전문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즉,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전문가에 대한 슈퍼비전, 업무와 관련된 전문적 능력, 윤리적 책임행동, 실천과 관련한 전문적인 교육의 실시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하겠다. 결국 사회복지관의 경우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보다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슈퍼비전과 전문적인 업무처리와 관련한 교육 등이 조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혼여부, 학력, 근무경력, 월평균 수입, 사회복지사 자격 등급, 근무지 유형, 기관 운영형태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를 고려해 볼 때 사회복지관의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 기관장은 사회복지사 개개인의 개별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다음으로 각 변수 간 상관관계 검증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장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는 서비스 및 경제적 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자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는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는 변혁적 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은 변혁적 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은 기관장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검증 결과이다. 먼저 기관장을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의 독립변수별로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가 서비스 및 경제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장이 인식하는 서비스 및 경제적 성과에 있어서는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의 독립변수별로는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있어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가설 2는 조직문화가 변혁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검증결과이다. 조직문화의 독립변수별로는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가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사자가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가설 3은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검증결과이다. 독립변수로서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은 .51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사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가설 4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에 관한 검증결과이다. 분석결과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1단계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2단계 매개조건 분석 결과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는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2단계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3단계 매개조건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고, 매개변수인 변혁적 리더십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변혁적 리더십은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장들의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는 리더십 교육 또는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기관장들의 리더십 교육 또는 훈련은 사회복지관의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줄 것으로 예상됨으로 ‘사회복지사 협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등 관련 기관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이 협의하여 리더십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기관장들이 리더십 교육에 참석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국 사회복지관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 사회복지관의 건강한 조직문화의 형성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의 수요조사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더불어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직원들 간의 신뢰와 협력이 돈독해질 수 있는 조직문화의 개선을 위한 기관장의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복지관은 조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선정된 다양한 조직특성 변수들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직차원의 특성 변수들을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