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본 논문은 언어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를 연구한 것이다. 오늘의 한국교회는 내적으로 영적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외적으로는 성장주의, 기복...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언어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를 연구한 것이다. 오늘의 한국교회는 내적으로 영적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외적으로는 성장주의, 기복주의, 세속주의 등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위기의식 상황의 배경을 한국교회에 올바르지 않는 예배의 실행에 있다고 진단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자가 고찰한 바, 한국교회의 예배 실행에서 가장 심각한 점은 바로 의사소통의 부재이다. 예배가 예배답지 못하고, 소통이 없이 일방적인 형식과 구조로만 진행되고 있다. 이 점을 인식하면서 어떻게 하면 하나님을 온전히 만나고(계시), 회중의 적극적인 참여(응답)차원의 상호소통이 있는 예배를 실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본 논문을 전개하였다. 예배는 하나님과 회중, 회중과 회중 사이의 만남이며, 언어로 소통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예배 안에서 하나님의 언어 즉 문자적 언어인 성경과 선포적 언어인 설교, 보이는 말씀의 언어인 성례전, 예배자들의 응답 언어인 기도, 찬양 등이 잘 화행되고 소통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의 목적을 하나님과 회중, 회중과 회중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언어행위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예배를 “컨버전스 예배”라는 예배모델로 제안하는데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제2장에서 언어행위이론이 등장한 배경과 개념, 그리고 언어행위이론을 주장한 오스틴(J. L. Austin)과 서얼(J. Searle), 사회학적으로 언어행위이론을 토대로 의사소통행위를 연구한 하버마스(J. Habermas)의 이론을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행위이론과 의사소통으로서 예배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언어행위이론의 관점에서 의사소통으로서의 예배라 칭하는 컨버전스 예배 실행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직시한 것이다. 제3장에서는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의 이해와 신학적 원리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의 구조와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서 현대 주요 예배서에서 나타난 예배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로버트 E. 웨버와 콘스탄 M. 체리의 예전을 토대로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의 4중 내력벽과 요소를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 실행을 위한 소통으로서 언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컨버전스 예배에서 하나님의 계시적 언어와 인간의 응답적 언어가 어떻게 화행되고, 의사소통을 이루어져야 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제6장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컨버전스 예배모델 제시와 실제 예배 현장에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효과수반발화력이신 성령하나님과 함께 하는 소통의 예배 이어야한다. 둘째, 개혁주의 예배신학의 터 위에 소통되는 예배이어야 한다. 셋째, 복음의 소통이 온전히 이루어지는 화행된 예배이어야 한다. 넷째, 말씀과 성례전의 조화로운 소통 예배이어야 한다. 다섯째, 상징성과 신비감이 반영되는 소통의 예배이어야 한다. 여섯째, 현대문화와 예배적 측면을 반영하는 소통의 예배이어야 한다. 연구자의 핵심 논점은 예배 안에서 하나님의 계시와 회중의 응답 패턴 즉 하나님과 회중 간에 복음의 의사소통이 올바르게 활성화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한국교회 예배의 문제점과 위기를 대응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주제어: 예배, 컨버전스 예배, 예배서, 언어행위이론, 복음의 의사소통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