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