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과 조경교육으로서 조경디자인캠프의 변화 과정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time changes, competence that must be covered in landscape design has variously changed. However, in our current regular landscape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universities to reflect such demands spontaneously when revising curriculums by themse...

As time changes, competence that must be covered in landscape design has variously changed. However, in our current regular landscape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universities to reflect such demands spontaneously when revising curriculums by themselves.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amp, the first and oldest extracurricular landscape education in Korea, has advantage in that it has flexible curriculum than formal education and has responded to call of ages for over 20 years since 1994, training 1,166 future landscape architects. However, diachronic analysis and inspec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hich it faces a problem that it may lead to habitual program without any contemplation on future improvements.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ize data on landscape design camp that has been held b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for last 23 years and analyze its course of change diachronically, with aim of critical contemplation on achievements of landscape design camp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Analysis and evaluation have been conducted with categories for analysis on course of change and categories on stud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hich are established based on 5 criteria; aim of education, subjects of education, environment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method of education. To summarize major results, it is as following. In aim of education, linkage to actual practice has been priority in intial stages, but recently, the aim has been shifted into a new education for growing creativity. Student and teacher have shown different opinions on one common goal while some goals have shown relatively low satisfaction than their importance in which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reestablished education goals that take era and position into account. Whereas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related majors and hands-on workers were active in the past, the education is conducted primarily with landscape architecture majors. The students are tak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related majors positively. Most of the students are juniors or seniors and the level of current education is appropriate for juniors and seniors. As for education environment, the events have been held mostly near Seoul and regardless of student's origin, students prefer the camp to be held in vicinity of Seoul. Having the camp near Seoul has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 in increasing time for exchange between tutor and student. Short period is problematic in various aspects and as it demands voluntary participation due to its extracurricular nature, it has been learned that proactive learn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In the content of education, the contents have changed in each session and since the 20th camp, former sporadic cont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place-centered education and it has achieved positive effects in many aspects. Overall satisfaction on education contents are higher in recent camps, bu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is disparity with the work conducted in actual business. Also, it has limitations that it is mainly conducted in design studio and other programs are not as diverse as the earlier camps. As for method of education, when the place of camp is closer to tutor's business area, and when there are two tutors, it has shown more positive influence, while teamwork among the tutors has given a lot of influence. In recent camps, satisfaction on education method has been high, which it is considered to be because it is held in metropolitan area and the education is conducted with two tutors per studio.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reviewed landscape architecture camp from the perspective or extracurricular education related to specialty and has made diachronic review and inspection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for last 20 years. However,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in that some items are not analyzed in all camps due to non-existent records in each camp, and that analysis is not clearly performed on disparity between each camp as all students and tutors who have enlisted in the program has not been included for sample group.

시대가 변하면서 조경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역량도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정규조경교육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교육 과정을 개편하기에 그러한 요구를 시시각...

시대가 변하면서 조경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역량도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정규조경교육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교육 과정을 개편하기에 그러한 요구를 시시각각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내 최초이자 가장 오랜 기간 진행된 비교과 조경교육인 조경디자인캠프는 정규교육에 비해서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1994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시대에 반응하며 1,166명의 예비조경가를 배출하였다. 하지만 통시적인 분석과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후 발전적 모색 없이 습관적 개최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지난 23년간 조경학회 주최로 진행되어온 조경디자인캠프에 대한 자료들을 체계화하고,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학습자 입장에서 조경디자인캠프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목표, 교육대상,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총 다섯 가지 범주를 바탕으로 변화 과정 분석의 항목과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분석과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로 초기에는 실무 연계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창의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나의 목표에 대해 학습자와 교육자가 견해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으며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목표도 있어 시대와 입장을 고려하여 교육목표를 재정립하고 그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거 관련 학과 학생과 실무자의 참여가 비교적 활발했다면 최근에는 조경학과 학생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관련 학과 학생의 참여를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가한 학생들의 학년은 3, 4학년이 대부분이었으며 현재의 교육 수준도 3, 4학년에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육환경으로 개최 장소는 대부분 수도권에서 개최되었으며 지방, 수도권 학생에 상관없이 학생들은 대부분 수도권 개최를 선호하고 있었다. 수도권 개최는 튜터와 학생의 교류시간을 늘리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짧은 기간은 다양한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었으며, 비교과교육으로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기에 전체적으로 능동적인 면학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 회차별로 변화를 거듭하여 20회부터는 이전 산발적인 교육내용이 장소 중심으로 일체화되었으며 많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최근 회차에서 높았지만 실제 실무에서 하는 일과 괴리가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설계스튜디오 중심으로 진행되며 나머지 프로그램들이 초기에 비해 다양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었다. 수도권 학생보다 지방 학생들이 실무에 대한 이해도 향상, 문화적 소양 함양, 프로그램 구성, 튜터의 교육 방식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육방법은 개최 장소가 튜터의 활동지와 가까울수록, 튜터의 명수는 두 명일 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튜터들 간의 팀워크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최근 회차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수도권에서 개최되었으며 스튜디오 당 두 명의 튜터로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공과 연계된 비교과 교육의 측면으로 조경디자인캠프를 바라보았고, 지난 20년간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점검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회차별 기록의 유무가 달라 전체 회에 걸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항목이 있으며, 모든 회차별 학습자와 튜터를 표본 집단으로 하지 못해 회차별 차이에 따른 명백한 분석을 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