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무양태ㆍ증거양태에 대한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which appear in the [Obligation] and [Evidential] of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The '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of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

The '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which appear in the [Obligation] and [Evidential] of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The '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of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with the grammar constraints. In other words, with revealing the difference for the aspect of grammar between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to comparison the expression element of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then to consideration the common and difference.
Obligation Modality in Korean divides into ‘-아/어/여야 하-’ Speaker-oriented Modality and ‘-아/어/여야 되-’ The Center Modality. Corresponding the Chinese Obligation Modality, the expression divide into '应该,该,应,应当’and ‘要,得’. The former is Speaker-oriented 用言,the latter is the Center Modality用言。Besides, There's no great difference in semantic between Chinese Obligation Modality ‘应该,该,应,应当’ . Speaker's mental attitude or opinion will appear directly(about propositional). In the same time Speakers are required to do the specific behaviour to the listener (order, invite, recommend, prohibition). There's expecting and indication in semantic. The ending lexeme(终结语尾)expression of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더’ is similar with Chinese modality particles(语气助词)that can correspond with each other. The ending lexeme of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네’ correspond with Chinese ‘-呀’。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으)나가/았나/나 보-’ correspond with Chinese 看来’,‘看起来’,‘看上去’.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으)느/는/(으)ㄹ 모양이-‘ correspond with Chinese ‘看样子’. However, in this , the ending lexeme of Evidential Modality expression in Korean ‘-겠’ can't find a corresponding in Chinese. And the 连结语尾‘-길래’ is exist in Evidential Modality expression in Korean, but as a 连结语尾, it isn't exist in Chinese.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 가운데 [의무]와 [증거]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들의 문법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한·중 의무양태와 증거양태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는 ...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 가운데 [의무]와 [증거]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들의 문법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한·중 의무양태와 증거양태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법적 제약을 통해서 한·중 의무양태와 증거양태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한·중 의무양태 및 증거양태 표현들의 문법적 차이를 밝혀 양 언어의 양태 표현요소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한국어 의무양태 표현은 ‘-아/어/여야 하-’는 화자 중심 양태이고, ‘-아/어/여야 되다’는 주어 중심 양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의무양태 표현은 ‘应该,该,应,应当’와 ‘要,韩语论文,得’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화자 중심 양태용언이고 후자는 주어 중심 양태용언이다. 그리고 중국어 의무양태 ‘应该,该,韩语论文题目,应,应当’는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명제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나 견해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화자는 이와 동시에 청자에게 특정한 행동이나 행위(명령, 권유, 권장, 금지)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의미적으로는 [바람]과 [지시]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더’는 중국어 어기조사 ‘-来着'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대응할 수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네’는 마찬가지로 중국어 어기조사 ‘-呀’에 대응할 수 있고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구나’는 중국어 어기조사 ‘-啊'에 대응할 수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으)나가/았나/나 보-’의 대응하는 중국어 증거양태는 ‘看来’, ‘看起来’, ‘看上去’ 등이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으)느/는/(으)ㄹ 모양이-’는 중국어 증거양태 ‘看样子’와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겠’과 대응하는 중국어 증거양태 표현을 찾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으로 연결어미 ‘-길래’가 존재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연결어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어미로 쓰이는 중국어 증거양태 표현은 존재하지 않았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