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내 녹지는 도시생태계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을 촉진시키고, 생물다양성을 부양하는 핵심공간이다. 또한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문화적 공간... 도시 내 녹지는 도시생태계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을 촉진시키고, 생물다양성을 부양하는 핵심공간이다. 또한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문화적 공간이다. 이러한 도시 내 녹지는 도시화, 산업화의 과정 속에서 불가피하게 훼손되거나 파편화가 되어져 왔다. 최근 도시 녹지의 파편화 현상이 매우 심각한 서울시에서는 그간의 도시화 및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훼손되어지고 파편화된 녹지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단절된 녹지의 연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자체적인 가이드라인이나 지침 등은 미비하며, 그간의 추진 사업들은 객관성 및 신뢰성 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단절된 녹지의 연결 사업 진행시 우선순위 선정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단절녹지의 연결을 위한 도시 코리더 조성 평가지표를 개발코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예비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로 ①경관생태학적 특성, ②동식물 특성, ③지형적 특성, ④주변 도시 및 기타 특성의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평가지표들의 중요도를 산정하기 위해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활용하여 단절녹지 연결을 위한 도시 코리더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점수화 하였다. 가중치 분석 결과, 경관생태학적 특성 항목에서는 녹지의 단절원인 및 단절 규모나 배후녹지크기 등에 비해 전체적인 녹지네트워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식물 특성 항목에서는 동식물의 서식 기반이 되는 서식처 현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존식생, 보호종현황, 인간간섭도, 비오톱등급 순으로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 시점에서 실제 대상지에 서식하는 현존식생과 보호종 현황을 식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면화 한 관련 주제도의 등급보다 우선시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형적 특성 항목에서는 유역특성이 세부적인 지형단면구조나 배후동선, 경사도, 토양특성 등에 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형조건의 지배적 요소로써 수순환 체계와 연관성을 갖는 유역적 특성을 가장 우선시한 결과로 해석된다. 주변 도시 및 기타 특성 항목에서는 녹지축적합성이 토지이용, 도시계획시설, 모니터링 등에 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생태학적 특성 항목에서 녹지네트워크를 우선시 하는 것과 같이 주변여건이나 세부 관리 및 모니터링 편의성 측면에 비해 큰 틀에서 전체적인 녹지축과의 부합성을 중요시 한 결과로 해석된다. 결과를 요약하면, 단절녹지 연결을 위한 도시 코리더 조성 평가지표로써 광역적인 녹지네트워크 연계성 및 녹지축적합성을 비롯하여 현시점에서의 실제적인 서식처 현황과 주변 수 순환 체계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유역특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녹지체계의 역사적 맥락과 함께 광역적 생태네트워크의 흐름을 가장 중요시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앞으로 녹지체계의 정확한 기맥을 찾는 작업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단절녹지 연결을 위한 도시 코리더 조성 사업의 대상지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 산정 및 계획, 설계를 평가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