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methods of brand development by corporations are changing. In the past, communic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consumers was one way. Due to generational changes, demands by consumers have become diversifi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methods of brand development by corporations are changing. In the past, communic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consumers was one way. Due to generational changes, demands by consumers have become diversified moving toward two-way communication. Fitting such changes, corporations are applying “flexible identity” combined with pliability and variability in developing brands. This is not limited to general corporations, as it is applied to the culture industry creating culture. In the cultural industry, the principle agent that most actively introduces flexible identity is the museum. Flexible identity can emphasize brand identit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but has a drawback in that due to variability the brand’s own identity can become vague. Also, in designing flexible identity, its criteria haven’t been made clear. Thus, this study measured consumers’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1. Cognition, 2. Degree of attention, 3. Desirability, 4. Intention to visit) based on expression types of flexible identity (1. Internal pliability, 2. External Pliability, and 3. Dynamic Pliability). This study aims to offer a guideline to introduce effective flexible identity to museums by analyzing consumers’ attitude. Based on an advanced research, the thesis by Yun Yang-il (2011), this study analyzed cas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Expression Type 1 (Internal pliability), Expression Type 2 (External pliability), and Expression 3 (Dynamic pliability). Before producing flexible identity applicable to museums, this study firstly gathered cases of flexible identity posted on the overseas brand identity community website “Brand New,” examined the core value and identity of brands and classified expression types. Secondly, this study gathered seven cases including two Korean museum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Museum SAN, and overseas museums [Refer to this thesis], examined the identity of museum brands and classified expression types. After extracting characteristics by classified type, this study produced flexible identity to be introduced to a virtual museum “Be Museum.” After extracting characteristics by classified type, this study produced expression types for flexible identity, which was offered to respondents as experimental stimulus. The results of selected hypotheses are explained in detail in the thesis, and this researcher concluded that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Expression 3 (Dynamic pliability) in flexible identity was most suitable. Expression 3 (Dynamic pliability) had positive results in cognitive response, degree of attention and desirability. As a result of validating consumers’ attitude by expression type of flexible identity to be introduced to museums, this researcher was able to obtain significant effects in awareness, desirability and intention to visit. Thus, this researcher validated that this study was a meaning research concerning consumers’ attitude based on expression type of museums’ flexible identity. This study had a limit in that it was unable to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degree of attention based on expression type of museums’ flexible identity. This researcher hopes that expression types of flexible identity are further researched through more detailed classifications in the follow-up research.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기업은 브랜드를 전개하는 방법을 변화하고 있다. 과거, 기업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은 단방향이었다. 시대적 흐름의 변화로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화되었고 양방향...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기업은 브랜드를 전개하는 방법을 변화하고 있다. 과거, 기업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은 단방향이었다. 시대적 흐름의 변화로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화되었고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기업은 브랜드를 전개함에 있어 유연성과 가변성을 접목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하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기업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문화를 창조하고 계승하는 문화산업에서도 적용된다. 문화산업 중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가장 활발히 도입하고 있는 주체는 미술관이었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다양한 표현을 통하여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조할 수 있으나 가변으로 인하여 브랜드 본연의 정체성이 흐려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기준이 명확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1.내적 유연성, 2.외적유연성, 3.동적유연성)에 따른 소비자들의 인지반응 및 태도<1.인지도, 2.주목도, 3.호감도, 4.방문의도>를 측정해보았다.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를 분석하여 미술관에 효과적인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도입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윤양일(2011)의 논문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1(내적유연성), 표현유형 2(외적유연성), 표현유형 3(동적유연성)으로 나뉘어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술관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제작하기에 앞서 1차적으로 해외 브랜드아이덴티티 커뮤니티사이트 “Brand New”에 게시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사례를 모아 브랜드의 핵심가치 및 정체성을 조사하고 표현유형을 분류하였다. 2차적으로 국내 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뮤지엄산> 2곳과 포함하여 국외 미술관<본 논문을 참고> 7곳의 사례를 모아 미술관 브랜드의 정체성을 조사하고 표현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유형별로 특징점을 도출하여 가상의 미술관 “Be Museum(비 뮤지엄)”에 도입할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제작하였다. 분류한 유형의 특징점을 도출하여 미술관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을 제작하였으며 응답자에게 제작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실험자극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에 채택된 결과는 본 논문에서 자세히 밝혔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미술관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표현유형3(동적유연성)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표현유형3(동적유연성)은 인지반응 및 인지도, 호감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미술관에 도입되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인지도, 호감도, 방문의도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 본 연구는 미술관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관한 연구로 가치가 있음을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미술관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표현유형에 따른 아이덴티티의 주목도에는 통계적인 부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후속적인 연구에서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유형을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연구가 되어지기를 바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