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라 어떠한 읽기 질문 유형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읽기 이해 여부를 가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라 어떠한 읽기 질문 유형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읽기 이해 여부를 가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에서 나타난 읽기 텍스트 유형별 질문 유형과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향후 읽기 텍스트에 따른 질문 구성 및 질문 유형 선정에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유형에 대한 연구와 한국어 교육의 질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와 중급 및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나타난 텍스트 및 질문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 나타난 텍스트를 ‘텍스트 기능’에 주목하여 유형을 구분하였고, 제시된 질문은 ‘읽기 중’, ‘읽기 후’에 제시된 질문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읽기 질문 유형에 기초하여 그 유형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질문이 제시되었는지 그 출현 수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정보 전달과 이해를 위한 텍스트’에서는 교재와 시험 모두 ‘설명문’을 주로 수록하였고, 이에 ‘글 표면적 이해 질문’을 다수 구성하였다. ‘문학적 반응과 표현을 위한 텍스트’의 경우 한국어능력시험에서는 ‘소설’ 외에 다른 텍스트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이는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영역 평가 목표를 충족시키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비해, 다양한 문학 텍스트를 수록한 교재에서는 ‘추론 질문’과 더불어 다수의 ‘글 표면적인 이해 질문’을 제시하고 있었다. ‘비판적 분석과 평가를 위한 텍스트’를 통해 질문을 구성할 때, 한국어능력시험에서는 ‘추론 질문’을 가장 높은 비율로 제시하였으나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에서는 ‘글 표면적 이해 질문’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텍스트’는 다른 유형의 텍스트에 비해 교재와 시험에서 모두 가장 낮은 비율로 수록되었고, 제시된 질문 또한 소량이므로 이를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종합하여 볼 때,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에서는 텍스트 유형과는 별개로 ‘글 표면적 이해’를 묻는 질문에 집중되어 나타났으며, 중급 및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능력시험에서는 ‘추론 질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읽기 질문 유형을 읽기 텍스트 유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텍스트 유형별로 효과적인 읽기 질문을 구성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한 한계점을 갖는다. 향후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 텍스트 유형과 읽기 질문 유형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study aims to make a clear distinction about text types and question types between normal Korean textbooks and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Ⅱ) to provide manifest datum, in the interest of proposing an allusive necessity that mainstreams o... The study aims to make a clear distinction about text types and question types between normal Korean textbooks and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Ⅱ) to provide manifest datum, in the interest of proposing an allusive necessity that mainstreams of Korean textbooks’ question types need to coincide with the TOPIK to some degree. For these ends, the present study examines 25 Korean textbooks and 4 TOPIKs that were held previously. After getting some manifest datum about text types and question types of these materials, they are analyzed and categorize. The study finds tha there are 4 main types of texts and 7 different kinds of question types in both Korean textbooks and TOPIKs. According to the first conclusion, 4 main types of text types are ‘the text about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text about literature’, ‘the text about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the text about social interaction’. However, the 7 question types are ‘the question of information’, ‘the question of re-organization’, ‘the question of inference’, ‘the question of prediction’, ‘the question of evaluation’, ‘the question of personal feelings’, ‘the question of accustomed Korean text’. Through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se diverse datum, the study finds that ‘the text about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the question of information’ score rates the most highly in textbooks. Meanwhile, in the aspects of TOPIK, the rates of ‘the text about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and ‘the question of inference’ are much more higher than other texts and question types. ‘the text about social interaction’ shows the lowest rate both in textbooks and the TOPIK. In conclusion, the study reveals discovered some palpable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text types and question types, between Korean textbooks and TOPIKs. It is obvious that current Korean textbooks are should be re-examined in an effort to allow the main teaching points of Korean textbooks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TOPIK. Concerning to this problem, the present study can provide lots of convincing datum and serve as foundation for further work.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