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개방개혁 이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적인 중국문화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이에 그동안 한족중심의 문화에서 벗어나 오랜 전통을 지닌 소수민족의 문화적 요소에 관... 중국의 개방개혁 이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적인 중국문화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이에 그동안 한족중심의 문화에서 벗어나 오랜 전통을 지닌 소수민족의 문화적 요소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패션산업에서도 세계적으로 남아있는 민족문화로부터 신선한 아이디어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디앵힌 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패턴, 소재와 색채, 복식스타일은 매우 훌륭한 디자인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패션산업의 경우 중국의 다문화적 전통요소를 새로운 트렌드에 맞게 창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세계인이 선호하는 세련된 상품으로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티베트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사례는 많은 편은 아니다. 그동안 중국의 경제적 발전 계획이 불균형적이어서 동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티베트 같은 서부지역은 뒤처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티베트 지역은 신비한 자연환경과 더불어 세계적 불교문화의 중심지로서 이미 세계적으로 알려진 지역으로, 중국의 경제발전과 다른 차원에서, 문화적 보고로서 관광산업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티베트 지역의 현대의류산업은 거의 발전되어 있지 않지만 티베트의 화려한 전통문화는 최고의 가치를 갖고 있으므로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점차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특한 티베트 복식 디자인 요소를 사용한 글로벌 현대디자인에 대한 분석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특히 2000년 이후 나타난 티베트 복식 디자인 요소 중에서 인기가 있는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1997년부터 티베트는 패션계에서 등장되지만, 2005년에는 컬렉션 무대에서 처음으로 등장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티베트의 환경, 종교문화, 복식문화를 분석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의 경우, 티베트의 전통 문화를 활용한 현대 글로벌 패션디자인을 분석하였는데 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보그 복식 사이트(vogue)에서 수집한 컬렉션사진을 참고로 하였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티베트의 전통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현대적으로 해석한 디자인을 년도 별로 분석했다. 첫째,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세계디자인 브랜드에서 티베트 문화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은 매우 적었으며 대부분 문양, 소재, 아이템을 활용했다.2013년대 이후부터 티베트 디자인 요소를 사용한 디자인이 증가되었으며 주로 문양 및 색채는 물론 소재, 아이템, 조형, 기법 등을 다양하게 사용했다. 다시 말하면 세계적 브랜드에서 2013년 이전에는 단일한 티베트 문화를 사용했으나 2013년 이후에는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티베트 문화를 활용한 세계적 디자인을 시즌별로 살펴보면, S/S컬렉션에서는 25개 브랜드에서 7개 디자인을 발견했으며 18개 디자인은 F/W컬렉션에서 발견될 수 있었다. S/S컬렉션에서 7개의 디자인은 색채, 문양, 조형 및 장식소품을 주요 사용했다. 장식소품은 주요 티베트 여성 머리를 따는 변자(辫子)를 많이 사용했으며, 디자인 2 개에서는 티베트 문화의 조형성으로부터 그리고 티베트 스님의 복식조형에서 영감을 받았다. 용감을 받았다. 색채는 티베트 전통허리띠(스갤륵(허리띠))에서 사용되는 색채조합으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승려복의 주홍색도 이용했다. 문양은 기하문양을 사용된다. F/W컬렉션에서는 16개의 디자인에서 티베트 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주로 문양, 색채, 형태를 많이 활용했다. 문양의 경우, 주로 탕카(唐卡)에서의 길상도안 문양을 많이 사용했다. 또한 3개의 디자인에서 색채는 승려복의 주홍색이나 독특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는 티베트 풍경의 색채를 조합했다. 형태를 활용한 경우, 승려복의 조형을 많이 활용했으며 1개 디자인은 신발조형, 그리고 2개 디자인에서는 모자의 조형을 활용했다. 셋째. 티베트 문화요소를 활용한 현대패션 디자인을 살펴보면 색채를 활용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이중 길상도 문양이나 기하학적 문양도 많이 사용되었다. 색채의 경우 승려복의 주홍색의 인기가 가장 많았다. 2개의 브랜드에서는 한 컨렉션에서 주홍색의 이미지를 사용했으며 3개의 디자인에서는 티베트의 독특한 자연관 색채의 배색을 보여주었다. 10개의 디자인에서는 형태를 활용했고 8개 디자인에서는 장식소품을 활용했다. 티베트는 특수한 소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소재를 직접 사용하는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현대패션디자인에서 각 컬렉션을 통해 문양의 다양성, 색채의 대비성, 소재의 이질성, 형태의 가변성 등 티베트 복식의 특성을 해석하여 트랜드에 부응하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티베트의 색채 및 문양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색채중 에서는 티베트 승려복의 주홍색을 많이 사용된다. 또한 선명한 색채 조합을 이용하는 디자인도 있어다. 문양중 에서는 기하학적 길상도 문양이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길상도 문양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종교적 신앙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형태를 반영할 경우, 독특한 한 쪽 어깨를 들어내는 승려복을 역발상적으로 여성적 이미지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티베트 디자인 요소를 사용할 때 현대패션디자인들이 티베트 복식의 특성을 파악해서 디자인을 한다는 점을 볼 수 있다. 가장 직관적이고 표현력이 있는 문화 기호라 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을 분석함으로써 통해 티베트의 문화를 좀 더 대중적으로 소개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티베트 복식 세계화를 위해서 단지 전통복식만 아니라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티베트 복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활용하였는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