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ven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of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WISEs) and to identify the role of social capital that mediates its effectiveness. First of all, the review of the 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ven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of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WISEs) and to identify the role of social capital that mediates its effectiveness. First of all,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has examined the nature of out-of-school youth problems, limitations of current support policies, and the strengths of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The nature of the out-of-school yout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the risk of work exclusion of out-of-school youths with the lowest labor market status is increasing due to economic deterioration and employment insecurity. Second, out-of-school youths are hard to rise labor market status due to loss of human capital formation, lack of 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 and non-formation of relation capital. Third,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re very low due to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repeated discriminati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upport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the scope of the support law and the reality of out-of-school youth. Second, the policy to promote employment of out-of-school youth does not reflect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m. It is expected that the strengths of WISEs will be as follows. First, it can help out-of-school youth form social capital.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WISEs and the way of organizing the resources from the outside have a character which is well suited to social capital. Second,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strategy of WIS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motivation of out-of-school youth, strengthening of employment capacity, and provision of out-of-school youth friendly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est whether these expectations are in line with reality, I conducted multiple-case study of four WISEs with the largest deviation from the three main criteria: 'major target group', 'organization (transition) type' and 'labor integration method'. What differentiating strategies are used by companies and how they are effective are examined using pattern-matching techniqu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case enterprises took a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to enhance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the youth, and coordinated this strategy with the goals and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In this strategy,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formed by case companies were used.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case companies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resilience of youth and strengthening of employment capacity and career attitude. In addition, we were able to mob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rough local networks, which enabled u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s. And they reduced the work exclusion of out-of-school youth in the community by creating a venue where young people and communities meet and connect.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focuses on the social enterprises in the labor sector of out-of-school youth, and has demonstrated empirically the contributions of social enterprises to the work integration of out-of-school youths through cas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노동통합 사회적기업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입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매개하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 이 연구의 목적은 노동통합 사회적기업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입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매개하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검토를 통해 현행 학교 밖 청소년 문제의 성격, 현행 지원정책의 한계, 노동통합 사회적기업의 강점을 이론적으로 검토했다. 학교 밖 청소년 문제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 악화와 고용 불안 확대로 인해 노동시장 지위가 가장 낮은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배제 위험이 더 커지고 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은 인적자본 형성 기회 상실, 제도적 문화자본 부재, 관계자본 미형성으로 인해 노동시장 지위 상승이 어렵다. 셋째, 열악한 노동환경과 반복된 차별로 인해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이 매우 낮다. 현 지원정책의 한계는 첫째, 지원법의 대상 범위와 현실의 학교 밖 청소년 범위 사이에 괴리가 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고용 촉진을 위한 정책은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런 현실에 대해 노동통합 사회적기업이 갖는 강점은 다음과 같을 것으로 예상됐다. 첫째, 청소년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노동통합 사회적기업의 조직 내 의사소통구조, 외부로부터 자원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사회자본과 잘 조응하는 성격을 띈다. 둘째, 기업의 사회자본 형성 전략은 학교 밖 청소년의 취업동기 활성화, 취업역량 강화, 청소년 친화적 고용기회 마련에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이러한 예상이 현실과 맞는지 검증하기 위해, ‘주요 표적집단’, ‘조직(이행) 형태’, ‘노동통합 방법’ 세 기준에서 최대 편차를 보이는 네 개의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다중사례연구를 실시했다. 기업이 사용하는 차별화된 전력이 무엇이며, 그 전략은 어떤 효과를 갖는지 패턴 매칭 기법을 사용해 검증하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 기업들은 청소년의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을 취하며, 이 전략을 조직의 목표·활동과 조율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전략에 사례 기업들이 형성한 결속형 사회자본과 연계형 사회자본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례 기업을 통해 형성된 사회자본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취업역량 강화와 진로태도 성숙에 기여했다. 또한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과 지역사회가 만나고 연결되는 기회와 장을 만듦으로써 지역사회에서 학교 밖 청소년 노동배제 요인을 감소시키는 측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학교 밖 청소년 노동 분야의 사회적기업에 주목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통합에 사회적기업이 기여하는 바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