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I를 활용한 두꺼비 서식지 조성모델 연구 : 원흥이방죽 대체서식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For years, Korean ancestors have considered Bufo gargarizans as house guards and Bufo gargarizans have been a familiar relationship with Korean culture in many fields. Bufo gargarizans need more than 1.5km radius to live on, compared to other amphibia...

For years, Korean ancestors have considered Bufo gargarizans as house guards and Bufo gargarizans have been a familiar relationship with Korean culture in many fields. Bufo gargarizans need more than 1.5km radius to live on, compared to other amphibians. Especially, they have the habit of moving limnological ecosystem. It means they live on a small pond, wetland, and lowlands connected to forest. However, the number of its population has seriously declined due to habitat environment changes like recent new town, road development and road-kill. Therefore, Ministry of Environment appoited Bufo gargarizans as 'wildlife prohibited capture'. Seoul city appointed them 'protected wildlife'. As protected species, Bufo gargarizans' habitat protection, restoration and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 are sincerely needed. As studies for habitat restoration of Bufo gargarizans,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overall creation of habitat of amphibians are suggested. However, studies on only for amphibian are inadequate. Also, habitat restoration techniques focused on endangered species like Rana chosenica and Kaloula borealis are actively studied. However, studies on habitat characteristics of Bufo gargarizans, particularly creation of habitat, are extremely short.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habitat restoration model through Habitat Sustability Index for Bufo gargarizans , and to propose basic data for creating habitat of Bufo gargarizans by applying restoration model to an alternative habitat, a small Resevoirs in Wonheung-ee as a case study. For this, field researches of 12 targeted places, domestic Bufo gargarizans colony habitats, were done, HSI variations of Bufo gargarizans and its criteri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re drawn, and they were verified by surveying amphibian experts and interviewing them in depth. Lastly,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restoration design experts of amphibia were done to suggest HSI habitat model for Bufo gargarizans . Based on this, complemented and modified masterplan was applied and examined to this targeted place, a small resevoirs in Wonheung-ee. As for HSI model variations and criteria of Bufo gargarizans , 5 components were drawn : space (hibernacula), shelter (place for drowsiness in Spring), prey, water (breeding), and threat factors and passage. In space, close forest stands, home range (moving distance), distance between forest stands to the closest spawning sites, and forest stands were drawn as for variations and criteria respectively. In shelter, rocks and the crack in the rocks, soil, pasture, and the closed direct distance with cultivation biotopes were drawn. In prey, layered structure of forest belts, and low-rise grassland space (vegetable area). In water (breeding), permanent wetland area, shore curvature, shore inclination, water depth, covering rate of water plants (open water surface ratio), types of water plants, and water quality. In threat factors and passage, roads, direct distance with pollutant, and presence of natural enemy. As a result of applying Bufo gargarizans HSI model to an alternative habitat, a small resevoirs in Wonheung-ee, most criteria by variations satisfied more than standard, but permanent wetland area, shore curvature, and covering rate of water plants were not up to standard. In case of permanent wetland, when wetland close to forest stands in alternative habitat and wetland area in targeted place were added, its criteria by variations could be satisfied. In shore curvature, as most restored wetlands were constructed with standardized rice fields, their criteria by variations fell short of the standard. In covering rate of water plants, complementary facility for Bufo gargarizans eggs to be fixed was suggested. That is because covering rate of water plants are not high in March when Bufo gargarizans intensively lay eggs. This study suggested variations and criteria applying Bufo gargarizans HSI model to an alternative habitat, a small resevoirs in Wonheung-ee It is expected to use this study as a basic data for monitoring and finding management guidelines like constructing alternative habitat with Bufo gargarizans HSI variations and criteria through continued monitoring and detailed complement. Key word : Toads Habitat Restoration Model, Habitat Model, Moving Distance, Life Cycle, Adjustment Management, Monitoring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두꺼비를 집지킴이로 인식해왔고 다양한 분야에서 친숙한 관련을 맺어 왔다. 두꺼비는 다른 양서류에 비해 1.5km이상의 넓은 서식반경을 필요로 하고, 특히 숲과 연결...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두꺼비를 집지킴이로 인식해왔고 다양한 분야에서 친숙한 관련을 맺어 왔다. 두꺼비는 다른 양서류에 비해 1.5km이상의 넓은 서식반경을 필요로 하고, 특히 숲과 연결된 방죽, 습지, 저지대에 서식하는 육수 생태계를 이동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근래 택지, 도로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환경변화와 로드킬 등의 원인에 의해 심각하게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두꺼비를 환경부 ‘포획금지 야생동물’, 서울시 ‘보호야생동물’ 등으로 지정하였으며, 보호종으로서 서식지 보호, 복원 및 대체서식지 조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두꺼비 서식지 복원 연구로는 양서류의 서식지조성 전반에 관한 연구와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으나 종 수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멸종위기야생생물인 금개구리, 맹꽁이 중심의 서식지 복원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두꺼비에 대한 서식환경특징, 특히 서식지조성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두꺼비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를 통한 서식지 복원 모델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로서 원흥이방죽의 대체서식지에 복원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두꺼비 서식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두꺼비 집단서식지 총12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문헌연구를 통해 두꺼비 HSI 변수 및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양서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변수와 기준을 검증하였다. 두꺼비 HSI 모델 변수와 기준에서는 공간(동면처), 은신처(춘면처), 먹이, 물(번식), 위협요소 및 이동통로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별 변수로 공간에서는 인접 임지, 행동권(이동거리), 산란지와 최인접 임지간 거리, 임상이며, 은신처에서는 돌 및 돌틈, 토양, 초지, 경작비오톱과의 최인접 직선거리이다. 먹이에서는 수림대 층상 구조, 저층초지공간(채식지 면적)이며, 물(번식)에서는 영구습지면적, 호안굴곡도, 호안경사도, 수심, 수생식물의 피도(개방수면 비율), 수생식물의 종류, 수질이었다. 위협요소 및 이동통로에서는 도로, 오염원과의 직선거리, 천적의 유무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두꺼비 HSI 모델의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와 양서파충류 복원설계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일부 보완하였으며 최종 마스터플랜을 원흥이방죽 대체서식지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대부분의 변수별 기준은 기준치 이상을 충족하였으나 영구습지면적, 호안굴곡도, 수생식물의 피도는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영구습지의 경우 대체서식지에 인접한 임상에 인접한 습지와 대상지의 습지의 면적을 합하는 경우 충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안굴곡도는 복원한 습지의 대부분이 규격화된 논습지를 조성하여 기준치보다 미달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습지식물의 피도는 두꺼비의 집중 산란시기인 3월에는 수생식물의 피도가 높지 않아 두꺼비 알이 고정될 수 있는 보완시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꺼비 HSI 모델을 원흥이방죽 대체서식지 및 유사 대상지에 적용할 수 있는 변수 및 기준 제시에 의의가 있다. 추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두꺼비 HSI 변수와 기준의 정밀한 보완이 요구되며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체서식지 조성에 따른 관리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두꺼비 서식지 복원, 서식지 모델, 행동반경, 생활사, 적응관리, 모니터링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