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amics have developed as tools used in daily living, influenc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ivilization. Such tools used in daily living can be used as references that well represent the culture and aesthetic values of a nation as well as ... Ceramics have developed as tools used in daily living, influenc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ivilization. Such tools used in daily living can be used as references that well represent the culture and aesthetic values of a nation as well as the techniques of that period of time. Among all the tools for daily living, bowls have been used widely in the dietary life of Koreans. Especially the shape and the well-rounded lines of white porcelain from the Cho-sun dynasty are known to be particularly refined and gorgeous. For the production of blue and white porcelain bowl in this study, a combination of the bowl’s shape from the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inlaying technique from Ko-ryo dynasty is used in a modern way. The bowl in this study has been produced by a spinning wheel giving some variation on the mouth, foot-rim and the body shape of the bowl, in reference to the well-rounded shape of a white bowl from the Cho-sun dynasty. The decoration of the bowl has been done using a mixture of cobalt pigment over engobe and white clay, where the mixture ratio has been adjusted after studying the coloring. In regards to the pattern, the inlaying technique has been used for a geometric and simplified design by using dot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modernized blue and white porcelain bowl, based on the shape of the white bowl from Cho-sun dynasty and using the inlaying technique that is one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for ceramics production. And by this, the traditional features of ceramics are expressed and visualized in a more modern way through the bowl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bowl becomes a more symbolic piece of ceramics that is used widely in today’s modern daily living.
도자기는 생활의 도구로서 환경과 문명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어져 왔다. 생활의 도구는 한 민족의 문화와 미의식뿐 아니라 그 시대의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식생활 도구로서의... 도자기는 생활의 도구로서 환경과 문명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어져 왔다. 생활의 도구는 한 민족의 문화와 미의식뿐 아니라 그 시대의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식생활 도구로서의 사발은 우리민족의 식생활 문화에 있어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 중 조선의 백자사발의 형태는 완만한 곡선의 선이 우아하면서 세련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화 백자사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사발의 형태와 청화백자의 파란색과 고려시대의 상감기법을 현대적으로 표현 하고자 한다. 사발(沙鉢)의 형태는 물레를 이용하여 성형하며 조선의 백자사발의 형태를 참고하여 곡선의 선이 완만함을 바탕으로 전, 굽, 몸체에 변형을 주어 제작하였다. 장식은 코발트(Cobalt)안료에 화장토와 백토와의 비율을 조절한 청화 화장토 이장을 만들어 시편작업을 통해 발색을 연구하여 소지와의 배색을 맞추었다. 문양은 상감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점을 이용하여 간결하게 디자인하였다.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적 감각의 사발을 제작함으로서 이 시대의 감각과 현대적 디자인으로 변용된 청화 백자사발이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쓰임 받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사발의 유형이 연구 되어 우리 도자 문화 속에서 정체성을 갖는 그릇으로서 자리하길 바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