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is an important element on which 60% of our sight depends and we perceive every object in the environment through colors. Utilized not only as one element of design but as a therapy in the field of medical, colors has diverse roles. Thus, it is ... Color is an important element on which 60% of our sight depends and we perceive every object in the environment through colors. Utilized not only as one element of design but as a therapy in the field of medical, colors has diverse role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arious usage of colors in life and to learn more about it. Moreover,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it is essential to educate the functions in the colors. However, these days, color education has neglected in art education. Despite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activitied needs to be based in students, the study of color still proposed in one-sided, theory-translating way, and the range of color is confined to color wheel or the practical use of medium to color paint or color . As the learners’ ability should be improved as the learners approach to higher grade, it 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lose their confidence in the color expression and even lose interest in their art expression. The colo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more systematically with experiencing abundant color and activity utilizing diverse colors and media. The result of overviewing existed researches about color education reveals that most of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s were elementary students and researches about using multilateral media have rarely been done. Therefore, this study is aim to develop the color education which utilizes multilateral media targeting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find out its effect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complishment on study. The media, here, perform as an important element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expression but in the pedagogical approaches. This study also searches the meaning of utilization of multilateral media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This study looks at overall school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color area in the textbook and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ased on tha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wo classes of 3rd graders in ‘B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Pusan, which proved its homogeneity. 5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 two groups, 26 student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olor education with the multilateral media are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color education with the usual media used in the textbook was implemented in the other control group. The study of the color education by experiment with two groups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6 during three weeks, 6 times altogether. The compare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fore the experiment in each group was verified with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questionnaire for learning motivation was reconstructed from Kim So Hyun’s (2015) and the questionnaire for academic achievement reconstructed from teachers’ guidebook. These are verified by in-service teachers and some expert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 SPSS was analyzed with ver. 21.0 for statistic package program afte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onclusion was complemented with simultaneous evaluation of product after the class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classes with utilizing multilateral media for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is study, the gra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learning motiva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and high rate of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Second, it is found that color classes with utilizing multilateral media for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gra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and the controlled group demonstrates meaningless changes. Thir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 high evaluations in color expressions, completeness of the products and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mproves the learners’ motivation and lead positive result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studies on multilateral media in color education will to bring out learner’s interest and concern and give some positive effectiveness on learners’ motiva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색채는 우리 시각이 60%이상으로 의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우리는 주변 환경의 모든 사물을 색을 통해 인식한다. 색은 생활 전반의 영역에서 디자인 요소로써 활용될 뿐 아니라 의학 분... 색채는 우리 시각이 60%이상으로 의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우리는 주변 환경의 모든 사물을 색을 통해 인식한다. 색은 생활 전반의 영역에서 디자인 요소로써 활용될 뿐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 치료 요법에 활용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지닌다. 따라서 이렇게 생활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색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의 활용에 대해 학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더욱이 여러 가지 시각문화 속에 살아가는 현시대에 그 속의 색에 담긴 기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색채교육은 미술교육에서 부수영역으로 이해하는 정도로 소단원에서 다뤄지며 그 중요성이 쉽게 간과되고 있다. 현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색채교육의 방법 또한 학생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배움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방적 이론 전달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색의 범위가 색상환의 색에 한정되거나 활용 매체가 채색도구나 색지로 한정되어있었다. 여기서 매체는 예술 표현의 수단과 그 수단에 활용되는 재료를 통틀어 일컫는다. 대부분의 교과서 속 색채단원은 한정된 매체와 활동으로 학생들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색채능력이 향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색채표현에 자신감을 잃어 미술표현에의 흥미마저 잃어버리고 있었다. 따라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색채교육은 다양한 색과 매체를 활용한 풍부한 색 경험과 활동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색채교육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이 초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다각적 매체를 활용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다각적 매체를 활용한 색채교육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매체는 미술표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교육학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색채교육에서의 다각적 매체의 활용 의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색채교육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의 색채 역역에 대해 분석하여 그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동질성이 검증된 부산시에 소재한 B여자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26명씩 총 52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의 학급에는 다각적 매체를 활용한 색채수업을 적용하고, 나머지 통제집단 학급에는 교과서 내 일반적으로 다루어지는 매체를 활용한 색채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은 2016년 9월부터 10월까지 3주의 기간으로, 총 6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집단 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비교는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학습동기 검사지는 김소현(2015)이 개발한 검사지를 재구성하였고,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평가 문항을 재구성하여 작성되었으며 이는 현직교사와 미술교육전문가로부터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고 수업결과물 평가를 동시에 실시하여 결론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각적 매체를 활용한 색채수업은 중학교 3학년의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둘째, 다각적 매체를 활용한 색채수업은 중학교 3학년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무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기결과물과 자기평가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색상표현, 완성도, 만족도와 부분에서 평가가 높이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긍정적인 학업성취도 결과를 이끌어냈다는 것에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색채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내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색채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