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가 문화를 통한 일자리창출이라는 국정기조와 함께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문화콘텐츠산업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지원정책은 민·관 할 것 없이 우후죽순처럼 발생... 현 정부가 문화를 통한 일자리창출이라는 국정기조와 함께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문화콘텐츠산업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지원정책은 민·관 할 것 없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유사한 프로그램과 지원내용을 가진 정책의 남발에 따른 좀비 창업자 증가와 나약해진 창업자들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 등 문제점이 뒤따라 발생함에 따라 향후 개선된 정책을 수립, 추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연구하였다. 정부의 관련 정책 중에서 전국 최초로 문화콘텐츠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살펴보았으며, 중앙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 공공과 민간에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사업 담당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접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창의적 아이디어를 원천으로 제조업 대비 낮은 초기투자비용과 상용화 이후 고성장과 고부가가치 창출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문화콘텐츠산업 분야는 창업에 유리하며, 산업이 성장할수록 창의인력에 대한 소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중국, 싱가포르와 같은 선진국은 이미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넘어갈 수 있는 생태계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다르며, 이들 창업선진국에 비해 창업문화 정착이 더딘 상황에서 창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의 강약과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의 정책과 예산을 가지고 민간 엑셀러레이터와 협업을 강화해야만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공공은 창업문화조성 및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지원을, 민간은 성장가능성 높은 기업에게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산업적 측면에서는 공동의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규모의 확대와 기관의 전문적인 기능을 통한 마켓 개발을, 지역별 측면에서는 해외수출 및 진출 시 공공과 민간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공동지원을 해줘야 한다. 넷째, 정부의 지원정책은 단기적 성과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이뤄져야 하는데, 3년 후 창업자의 생존율과 수익률 같은 중장기 성과가 실질적 의미를 가지며, 공공은 시설 인프라, 자금, 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제도 개선 등의 후방지원에 주력하여야 한다. 다섯째, 경기도는 넓은 지역에 다양한 산업이 존재하므로 제조, 문화, 관광 등의 지역 산업군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하며,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자연스레 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에 앞서 민간구성원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정부와 지자체, 민간과 공공은 일정한 영역에서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일정부분 의도적 중복과 구분, 역할 분담을 해야 한다. 끝으로, 기초체력이 약한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과 지역개발 측면에서 지역의 육성정책이 필요하며, 좀 더 경쟁력이 있고 규모가 있는 민간의 역할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의 구분과 정책수립을 위하여 창업 거버넌스 체계 정립과 함께 국가적 아젠다 설정이 필요한데, 경기도 역시 산하기관별 창업지원의 통합 아젠다 설정과 거버넌스 체계 정립이 필요하며 각 기관별 역할 구분과 협력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는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일자리창출의 측면을 포함하여 고성장과 고부가가치로 상징되는 문화콘텐츠산업 분야로 창업의 방향과 정부정책의 중요성을 점검하였다는 것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사점과 한계점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와 객관적인 추가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It would appear that the government has exerted policies to create jobs since 2014 and start-up assistance policies randomly emerge in the field of culture content business. This study researches policy proposals to contribute to improved policy estab... It would appear that the government has exerted policies to create jobs since 2014 and start-up assistance policies randomly emerge in the field of culture content business. This study researches policy proposals to contribute to improved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gainst similar programs and support contents that lead to applicants' careless pursuit and their vulnerable global competitiveness. It comprehensively exemplifies the policies of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that makes the start-up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where people establish businesses in priority and investigates the officials of cental department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people and experts in charge of related business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irstly, one of such investigation results is advantageous to start-ups in the field of culture content business in terms of high growth and value characteristics from creative ideas and low initial investment, which enables them to need creative workforce. Secondly, it is very different from South Korea that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hina, and Singapore stimulate private initiative and control intervention of government and this should necessitate levels of support and priority to provide substantial help in inferior start-up situations. Thirdly,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start-up ecosystem should appear in reinforce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accelerators with its policies and budget. Public institutions should foster the start-up cultures and provide a lot of wide aid in the initial states and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offer potential companies intensive support. Simultaneously, both industrially should hold joint events and develop the business market through the expansion of scale and professional functions of governments and should locally furnish export and overseas expansion companies with coordinated support in accordance with each function. Fourthly, the suppor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prolonged and macroscopic, which means medium and long term outcom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concentrate on the rear support such as infrastructure facilities, funds, education, expert networks, improvement of systems, and so forth. Fifthly, it is urgent to seek methods for systematic interaction among businesses such as manufacturing, cultural, tourism industries that emerge in Gyeonggi province towards regular interchanges and natural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Sixthly, it is necessary that the members of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participate in policies in advance their before establishment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rivate organization,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detail, somewhat overlap, and share their roles while competitively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Finally, it is evitable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ardy industries, local governments should promote local industries, and competitive and sizable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appear. The start-up governance systems and national agendas should arise for this division of roles and policy making and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synthetically should establish agendas of the start-up assistance of affiliated organizations and governance systems, divisionally cooperate with one another, and develop cooperation mode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directions and importance of start-up becaus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s to foster create jobs that are aimed at high growth and higher value-added businesses in the fields of cultural content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academic discussions and objective further studies appear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