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check out actual conditions of adjustment to school liv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the impa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ves. Further, this study is to sugg...
This study is to check out actual conditions of adjustment to school liv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the impa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ves. Further,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e for programs help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just to school lives and to grow into healthy citizens by conside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djustment and resulting from the environment they fac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ree private and religious centers supporting foreign marriage immigrants located in Seoul, two in Kyun-gi and one in Jeon-buk reg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udy subjects consisting of 298 mother-child pai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6 regions. The children studied were in their primary year 3, 4, 5 and 6.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ch organismic variables as gender,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nd linguistic inconvenience in conversation with parent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ves.
Second, as for microsystem variables, domestic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were found to affect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ves. Domestic environment variables include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supports and linguistic skills, all of which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mate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ird, such meso-system variables as mother-teacher and mother-friend relationships were found to influence multi-cultural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Fourth, such exo-system variables as maternal use of child-rearing educational services or other institution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garded influential in thos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ves.
Fifth, macro-system variable, or maternal perspectives on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have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Sixth, microsystem variables were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to explain the adjustment to school liv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um up, based o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adjustment to school,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ne organismic variable, or confidence; 8 microsystem variables as maternal inconvenience of Korean language, maternal receptive/rejective child-rearing attitudes, maternal autonomous/controlling rearing attitudes, maternal emotional/informative/economic supports, teacher's social support and school mate's social support; one exosystem variable, or child-rear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one macro-system variable, or children's sense of values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exerting influence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n other words, microsystem variables including domestic and school environments were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in the adjustment to school of children from a multi-cultural families.
Lastly, with respect to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the variables, the higher confidence and the more self-satisfactory appearanc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the better the children were found to adjust to schools, and the less inconvenient the children felt about the language in conversation with parents and the less uncomfortable with Korean language a mother felt, the more easily the children were found to adjust to schools.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접하고 있는 환경에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접하고 있는 환경에 따른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 건강한 국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3지역과 경기의 2지역에 위치한 민간에서 운영되고 있는 결혼이민자지원센터와 종교단체에서 운영되고 있는 해외이민자지원단체, 전북의 1지역에 이민자 지원단체를 중심으로 하였다. 총 6지역의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그들의 3, 4, 5, 6학년 자녀들 298쌍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혀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체 변인 가운데 성별, 효능감, 외모에 대한 만족도, 부모와의 대화시 언어에 대한 불편함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 가운데 가정환경 변인과 학교환경 변인이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지지, 어머니의 언어능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환경 변인의 경우에는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인 어머니와 교사와의 관계, 어머니와 친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체계 변인인 어머니의 자녀양육과 관련한 교육이나 다문화 가정 관련 기관의 이용이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다섯째, 거시체계 변인인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자녀관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가운데 자신감이라는 1개의 유기체 변인과 어머니의 한국어 불편정도, 어머니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 자율-통제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경제적 지지, 교사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라는 8개의 미시체계 변인, 자녀양육 관련 교육경험의 외체계 변인 1개, 자녀의 가치관이라는 1개의 거시체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포함한 미시체계 변인임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변인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신감,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님과 대화시 언어불편정도와 어머니의 한국어 불편정도가 낮을수록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수준은 높았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