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화장품의 광고 이미지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웰빙과 자연친화적인 사회적 트렌드로 한방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 한방화장이미분석 결과로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웰빙과 자연친화적인 사회적 트렌드로 한방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 한방화장품 이미분석 결과로 제시되고 있듯이, 우리가 스스로를 고전적인, 신비한, 동양적인으로 표현하고, 느끼고 있는 것이 과연 타당성이 있는 것일까? 라는 의문점으로부터, 우리 스스로를 타자화하고 있는 오리엔탈리즘과 스스로를 고립 시킬 수 있는 옥시덴탈리즘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한국미의 미적 특성을 재정립하고, 한방 화장품의 광고 이미지에 나타난 한국미의 특성을 밝히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방화장품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고찰하여 국내 한방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활용하고 나아가 국가브랜드로서의 문화정체성을 뚜렷이 하며, 마케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분석으로,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의 명확한 개념과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과 변화에 대해 살펴 본 후, 전통적 한국미에 관한 선행연구를 외국인과 한국인의 관점으로 나누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위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국미의 미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었다. 첫째, 절제미는, 한국미의 고전미와 단순미를 토대로 하여 중용과 안정등이 나타나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미를 표현 하고 있다. 둘째, 운동미는 비정제성과 소박미를 토대로 생명성을 앞세운 자유롭고, 활동적인 미를 표현 하고 있다. 셋째, 자연미는, 자연순응과 조화로움을 토대로, 자연과 함께 상생하고 세상 만물과 함께 소통하는 개방적인 미를 표현 하고 있다. 실증적 분석은, 한방화장품이 다수 출시되는 초창기 시기부터 2016년까지의 광고 이미지를 시기 별로 분류하였다. 1997년부터 2007년까지는 초창기로 전통적, 고전적 이미지가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성장기로 전통적, 고전적 이미지와 한국의 지역색이 보이지 않는 동·서양의 혼재의 이미지를 볼 수 있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성장기로 현대적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었다. 한방 화장품에서 나타난 주된 표현 대상은 인물과 사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인물 이미지는, 신비스러움과 이상향의 애매모호함을 줄 수 있는 오리엔탈리즘적 이미지와 도회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었다. 한방화장품은 우리의 전통적 미용문화와 미의식을 대표하는 상징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전통과 현대의 트랜디한 흐름을 접목 할 수 있는 한국미의 미적 특성의 활용으로 차별화된 상품과 문화적 상징 가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둘째, 사물 이미지는, 한국미의 미적 특성이 현대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었지만,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한방 화장품이 상징 가치가 있는 문화상품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것은 전통의 방식 그대로 동양을 시각화 하거나, 서양의 방식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 한국미를 바탕으로 한 현대적 재해석을 통하여 보전 가능한 이미지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With the recent trend of healthy and eco-friendly lifestyles,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hanbang (Korean herb medicine) cosmetics, the consumption of which has been on the rise.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mages of hanbang co...

With the recent trend of healthy and eco-friendly lifestyles,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hanbang (Korean herb medicine) cosmetics, the consumption of which has been on the rise.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mages of hanbang cosmetics, this study focused on orientalism, which makes Korean people other-ized, and accidentalism, that enables them to be isolated on their own, starting with the question, “it is really okay to express and feel ourselves as classical, mysterious and oriental people?.” The study attempted to reestablis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and unveil its uniqueness in hanbang cosmetics a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 review and use the current identity of hanbang cosmetics in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of domestic hanbang cosmetics, ii) clarify the cultural identity of national brands and iii) provide basic data for marketing. For theoretical analysis, the exact concepts of orientalism and accidentalism and their inflow into the Republic of Korea were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revious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beauty were examined with two different standpoints (foreigners and Koreans). Based on the said analys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beauty of temperance, an ideal and logical beauty in which moderation and stability are found is expressed based on classical beauty and the beauty of simplicity. Second, regarding physical beauty, liberal and active beauty is displayed with vitality based on non-purification and simplicity. Third, when it comes to natural beauty, the beauty of openness which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in goo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the adaptation to nature and balance. For empirical analysis, the advertising images from the beginning of hanbang cosmetics to 2016 were classified by period: First, in an early stage 1997 thru 2007, classical and traditional images were the mainstream. During the growth stage 2008-2012, a mixed image (the East / the West) without any local identity of Korea along with the traditional and classical image was found. From 2013 to 2016, a modern image was mostly observed. Second, regarding facial images, both oriental and urban & modern images which can evoke mystery and obscureness were expressed. In sum, hanbang cosmetics have a value that is important enough to represent Korea’s traditional beauty cul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For the utilization of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hich are applicable to the trend (tradition / modern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differentiated products and symbolic cultural values. Third, in terms of the image of things, 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beauty of Korea have been well utilized in a modern fashion. However, their coverage has been relatively low. For the improvement of the value of hanbang cosmetics as a cultural produ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m into a conservable image through reinterpreting them in a modern way based on the beauty of Korea, not just visualizing a traditional style or imitating a western styl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