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요약 본 연구는 노사파트너십 모델의 상호성 원칙을 규명하기 위해 롯데그룹의 창조적노사문화 사례를 통해 노사파트너십과 근로자 성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국문요약 본 연구는 노사파트너십 모델의 상호성 원칙을 규명하기 위해 롯데그룹의 창조적노사문화 사례를 통해 노사파트너십과 근로자 성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성과차이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롯데 노사파트너십 모델의 노사관계 성과를 직원만족도와 노사문화 개선으로 조작화하여 성과를 측정하였는데, 고성과 작업모형의 4개차원을 토대로 설문을 구성하고, 그릅 소속 4개회사에 대해 노사파트너십 활동의 강화전과 후에 두 차례에 걸쳐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주요 결과는 첫째, 노사파트너십의 근로자 성과는 노사파트너십의 세부 활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성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사파트너십의 근로자에 대한 성과가 노사파트너십의 목적, 사용자와 노조의 전략, 실행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Heery(2002)의 결론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둘쩨, 노사파트너십의 근로자 성과는 노사파트너십 실행과정의 근로자 직접참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셋째, 노사파트너십의 성과차이는 근로자들의 회사와 노동조합의 노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노사파트너십 모델 적용기간(1년)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 분석 기간 동안 발생한 경영권 분쟁 등의 영향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으며, 노사파트너십의 성과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Key Word: 노사파트너십, 종업원 성과, 직원만족도, 노사문화, 근로자 직접참여
Abstract Influence of Labor-Management Partnership on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Performance: Focused on Lotte Group’s case of 「Creative Industrial Relations Culture」 By Hwang Yong Suk Dep. of Labor and Industrial Relation Graduate School of ... Abstract Influence of Labor-Management Partnership on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Performance: Focused on Lotte Group’s case of 「Creative Industrial Relations Culture」 By Hwang Yong Suk Dep. of Labor and Industrial Relation Graduate School of Labor Studies Korea University This study looks into Lotte Group’s case of 「Creative Industrial Relations Culture」 to contemplate on the reciprocal principle of the labor-management partnership model.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will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management partnership and employee performanc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create performance disparity among workers. This research measures the performance of Lotte’s labor-management partnership model through analyzing the employee satisfaction level and improvements in labor relations culture. This was done by creating a survey using four dimensions of the high-performance workplace model. Four affiliate companies of Lotte were surveyed, examined, and analyzed prior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labor-management partnership program. The key point verified by this work is that employee performance under labor-management partnership differs depend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e result is similar with the work done by Heery(2002) which states that employee performance in labor-management partnership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strategy of management and union, and execution method of labor-management partnership.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it analyzes a labor-management partnership case which is at its introductory stage. Also, it was not able to control the effects of the ownership dispute that occurred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Thus,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labor-management partnership is suggested. Key Word: labor-management partnership, employee performance, employee satisfaction, industrial relations culture, 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