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styles of humor and peer rela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humor styles and peer rel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sel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styles of humor and peer rela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humor styles and peer rel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or style and the peer relationships of the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xplanatory power of peer relations by the types of humor styles of the children in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s in Gyeonggi province(120 boys, 107 girls).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scale of Ladd, Kochenderfer and Coleman(1996) was adopted by Yoo Sun-Lee(1999) and the peer relationship scale which Lee Ho-Sun(2001) revised agai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In order to measure the humor style of the children, the 'Humor Style Questionaire' developed by Martin et al. (2003) was adapted to the culture and stage of Korea by Kim Ju-Yong and Lee Ji-Yeon and the Children's Humor Style Questionaire(CHSQ)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or style and the peer relationship of the upper class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peer relations by the types of humor style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iliative humor style and Self-enhancing humor style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er relations because they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peer relationships and sub-factors such as help, exclusion, recognition, expression, and conflict. Aggressive humor styl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er relationships, bu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ression, an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flict. Self-defeating humor style is not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as a whole, but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expression of the sub-factors. Second, the use of adaptive humor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 The explanatory power showed the component that comes from Affiliative humor style at 5% and Self-enhancing humor style showed 2% explanatory power. On the other hand, aggressive humor style, which is a non-adaptive humor,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Self-defeating humor style showed 1% explanatory power but lowered peer relationship formatio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humor education and humor style. In particular, through research, we identified the necessity of humor style education suitable for children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confirmed that using adaptive humor style among children's various humor styles is positive for peer relationships. The use of non-adaptive humor in childre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expression, but this is likely to be significant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rough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머스타일과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양한 유머스타일이 또래관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머스타일과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양한 유머스타일이 또래관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유머스타일과 또래관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유머스타일 유형별로 또래관계에 미치는 설명력은 달라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경기도 지역 두 곳의 초등학교 4, 5 ,6학년 227명(남 120, 여 107)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Ladd, Kochenderfer와 Coleman(1996)의 척도를 유선이(1999)가 번안하였고, 이를 이호선(200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다시 수정한 또래관계 척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유머스타일을 측정하기 위해서 Martin등(2003)이 개발한 ‘Humor Style Questionaire'를 김주용, 이지연(2012)이 우리나라 초등학생 3~6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와 학생들의 단계에 맞도록 수정하고 번안한 아동용 유머스타일 척도 CHSQ(Children's Humor Style Questionaire)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 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유머스타일과 또래관계간의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유머스타일 유형별로 또래관계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적 유머스타일과 자기 고양적 유머스타일은 또래관계 전체와 하위요인 도움, 배타, 인정, 표현, 갈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므로 또래관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 공격적 유머스타일은 또래관계 전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없으나 하위요인 중 표현과는 정적상관, 갈등과는 부적상관이 있다. 자기 파괴적 유머스타일은 또래관계 전체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으나 하위요인 중 표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적응적 유머의 사용은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관계적 유머스타일로서 5%의 설명력을, 그리고 자기 고양적 유머스타일은 2%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다. 반면 비적응적 유머인 공격적 유머스타일은 유의미한 통계가 나오지 않았으며, 자기 파괴적 유머스타일은 1%의 설명력을 보이나 또래관계 형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유머교육과 유머스타일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켰다는 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연구를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아동에 맞는 유머스타일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는데, 아동의 다양한 유머스타일 중 적응적 유머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또래관계에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비적응적 유머의 사용은 자기표현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지만, 이는 사례수가 많아 유의미하게 나왔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해 다시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