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거주 몽골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ongolian childre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120 Mongolian children who ar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ongolian childre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120 Mongolian children who ar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purposively sampled and survey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elf-esteem and factors associated with attachments (parents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ffect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put the demographic variables as controlli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Mongolian students recognized their economical level as mid-high, and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3 point on 4-point scale. Their average level of attachment to parents, teachers, and peers were 3.4, 3.4, 3.0 point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level of peer attachment was a little lower than two others. The school-adjustment level was also comparatively higher, which was 3.6 point on 5-point scale.
Second,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chool-adjustment and the major variables, it showed that the self-esteem, parents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chool-adjustment.
Economic level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factors associated with attachments.
Meanwhile, it showed that the parents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lso had positive relationship in themselves, and respondents who had good attachment with own parents has good attachment with teachers and other friend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ajor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the analysis model explained about 56% of the variate(R²=.558).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on their school adjust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ttachment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Mongolian students living in Korea.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respondents who had goo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teachers and peers adjusted well in the school.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ngolian students living in Korea spend a lot of time in school, and the teach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chool. In respect that the teacher attachment affects dramatically high in the school adjustment, it is necessary that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for the child welfare should provide programs which can help the teachers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student and their sensitivity. It could help largely with the adjustment of the Mongolian students living in Korea. And fluent bilingual teachers who can educate students on both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s are needed.
Second, the peer attach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spondents’ school adjustment. So it will be good to have activities such as a camp, cultural experiences, special educational activity, mentoring programs.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welfare professionals should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for Korean students to have chances accepting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society.
Third, the parents attach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spondents’ school adjustment. This brings forward the needs of some activities with the respondents’ family such as a family camp with parents, teaching classes for the parents and welfare works connecting wit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o the school social workers who is working for the child welfare.
Nowadays various programs inducing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support are implemented in educational welfare, and expansion of such services is essential for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한국 거주 몽골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적응과정에 영향미치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재학 중...

본 연구는 한국 거주 몽골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적응과정에 영향미치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재학 중인 몽골 아동 12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애착 관련 요인(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아동의 인구학적 요인을 통제요인으로 함께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 ?를 산출했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 거주 몽골 출신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각 요인들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자 61명(50.8%)이 남자 59명(49.2%)에 비해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6학년이 57명(47.5%)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구대상자의 한국거주 기간은 1년 미만이 39명(32.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는 4년 이상 35명(29.2%)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연구대상자와 함께 사는 어른은 부모 모두와 함께 산다가79명(65.8%)으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국적은 99명(82.5%)이 부모님 모두 몽골인이라고 대답해 대다수를 차지했다. 부모의 연령은 부와 모 모두 36-45세가 각각 54명(45.9%), 57명(47.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부모학력 또한 부모 모두 대학교 및 전문학교 졸업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치를 살펴보면 몽골 아동들은 평균적으로 가정의 경제수준을 중간 이상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4점 척도에 평균 3점 이상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편이었다.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의 평균점수는 각각 3.4점, 3.4점, 3.0점으로 중간 이상이나 또래애착이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교적응 수준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6점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셋째,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학교적응과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 여부와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학교적응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고, 부모, 교사, 또래와의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이 더 나음을 의미한다. 한편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수준도 높았으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모두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부모, 교사, 또래와의 애착관계가 좋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 수준도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등 애착 관련 요인들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좋은 아동들이 교사 및 또래와의 애착관계도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주요 변수들이 한국거주 몽골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모형은 학교적응의 변량을 56%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R²=.558), 인구학적 요인과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애착관련 요인들은 한국 거주 몽골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변수는 모두 아동의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아동의 부모, 교사, 또래들로부터 경험하는 애착의 정도가 클수록 아동이 학교적응을 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거주 몽골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거주 몽골 아동들은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게 되는데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교사이고, 교사애착이 한국 거주 몽골 아동의 학교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할 때 학교를 기반으로 아동복지를 실천하는 전문가들은 해당 학교의 교사들이 다문화 및 외국학생들의 대한 이해와 민감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일련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연구 대상의 적응에 크게 도움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이중 언어를 유창하게 하고 앞으로 양국 간의 다리가 될 수 있도록 이중 언어 한국어 및 몽골어 등을 지도하는 교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몽골에서 교사를 초청해서 교육 교류 프로그램이나 연수를 활성화시키는 정책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또래들의 애착도는 연구대상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파악되었는데 또래학생들을 대상으로 공동캠프와 교육, 문화체험, 교육 특별 활동, 짝꿍이나 도우미, 학생을 활용하는 멘토링 서비스 등이 학교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한국학교에 다니고 있는 몽골 학생들을 위한 몽골 문화 프로그램, 몽골의 역사, 현재 몽골 소식 등을 알리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요즘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해외자원봉사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지어서 몽골학생들과 함께하는 봉사활동, 몽골 가기 캠프, 사막화 방지 프로그램, 에코 투어(나무심기), 황사 방지 캠페인 등의 문화 교육 및 교류 캠프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국내학생들에게도 다민족, 다문화 사회를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학교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나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에게 더 각인될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가 제시해준다.
셋째, 부모애착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 되었는데 이는 학교와 연계하거나 학교를 기반으로 실천하는 전문가들에게 대상 아동 청소년의 가족, 부모님과 함께 하는 가족 캠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교육과 상담, 지역사회 복지관과 연계된 복지 서비스 등이 더 활성화될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학교사회복지나 교육복지 현장에서 부모애착 및 가족의 지지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이 다문화 가족에게도 꼭 필요하며 더 확대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본 연구가 잘 보여 주고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