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장소브랜딩에 관한 연구 : 홍대 거리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1th century is an era of culture. Modern people are pursing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by the different lifestyle from the past. As the time putting the life quality above everything came, the consumption of the cultural activity began and p...

21th century is an era of culture. Modern people are pursing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by the different lifestyle from the past. As the time putting the life quality above everything came, the consumption of the cultural activity began and people are looking for a space for the cultural life such as exhibition/performance, and for various activities such as shopping. The taste of consumers who were culturally, artistically stimulated in these various spaces is becoming various gradually and their concern for the design is increasing. In the Hongdae area, the identity of Hongik University and the art-related activities were formed naturally and the spaces such as the art supply store, workroom, and gallery were formed. Afterwards, people could associate Hongdae area with the ‘street of art’ due to a lot of artists. However, in 2000s, many artists left Hongdae area because of the high rent caused by the commercialization. Artists who could establish the identity of Hongdae area left. Also, the places which introduced the artistic elements called mural are not managed well and left alone with wastes. More and more people do not think of Hongdae as a town of artists and a place for artwor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place branding by using the elements of space marketing for finding the identity of Hongdae Street. It is a goal of this study to suggest a space to the backward part in Hongdae Street. Various programs are going to be planned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Therefore, the success factors of the culture art space of the backward region were apprehend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case survey. Second, the necessary space would be suggested by drawing the improv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in Hongdae area. In Yeonnamdong, a neighboring area, the space which was a railroad in the past was renovated into a park to attract many tourists’ eyes, and Seoul Bukgeori is recently being created on the street between Hongdae and Yeonnamdong.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현대인들은 예전과는 다른 생활방식으로 삶의 질 향상을 추구 하고 있다.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대로 변화하며 문화와 관련된 활동의 소비가 시작되면서 ...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현대인들은 예전과는 다른 생활방식으로 삶의 질 향상을 추구 하고 있다.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대로 변화하며 문화와 관련된 활동의 소비가 시작되면서 전시, 쇼핑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찾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공간에서 문화적, 예술적인 자극을 받은 소비자들의 취향은 점점 다양해지며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홍대 지역은 홍익대학교로 인해 생긴 정체성과 자연스럽게 미술관련 활동이 형성되며 화방, 공방, 갤러리 등의 공간이 형성되었다. 그 후 많은 예술가들로 인해 홍대 지역 하면 ‘예술의 거리’를 떠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서게 되면서 홍대지역은 상업화로 인하여 높은 임대료로 많은 예술가들이 빠져나갔다. 홍대지역의 정체성이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예술가들이 빠져나가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또한 지역에 벽화라는 예술적 요소를 도입했던 장소들도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쓰레기들과 함께 방치되고 있다. 홍대가 예술인들의 동네, 예술작품을 볼 수 있는 곳 이라는 생각은 많이 없어지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홍대거리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스페이스 마케팅의 요소를 사용하여 장소브랜딩을 할 계획이다. 그 수단으로 홍대거리 중에서도 낙후된 부분에 공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공간은 시민들과의 참여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계획이다. 따라서 첫째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낙후된 지역의 문화 예술 공간이 형성되었던 점의 성공 요인을 파악하였다. 둘째 홍대지역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여 필요한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변 지역인 연남동에는 과거 철도였던 공간을 공원으로 개조 시켜 많은 이들의 관광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고 최근에는 홍대와 연남동사이에 거리에는 서울 북거리를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향후 주변 지역과 어울러 많은 관광객들을 이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