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시장 녹색제품 보급촉진을 위한 환경·경제·사회적 편익분석 : 환경마크제품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연재해, 가습기 살균제 등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피해 등으로 환경문제 인식 및 보건․안전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연재해, 가습기 살균제 등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피해 등으로 환경문제 인식 및 보건․안전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친환경적인 소비․생산 문화 체계를 구축하고자 우리나라는 1992년부터 환경마크 인증 제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추진되어 온 환경마크 인증제품 보급 활성화 정책의 성과를 살펴보았으며, 환경마크 인증제품 구매에 따른 환경․경제․사회적 유발편익을 산출하여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온 현재까지의 정책방향을 민간분야로 확대하기 위한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증제품 구매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이 부재한 민간분야의 환경마크 인증제품 구매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6년 7월부터 약 한 달간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1:1 개별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환경마크 인증제품 인지도 및 미구매 사유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환경마크 내용 인지도’는 27.5%, ‘환경마크 인증제품 우선구매 의향’은 75.9%로 각각 집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민간시장 내 인증제품 구매율을 20.9%로, 미구매 사유 해결을 통한 인증제품 잠재 구매증가율은 15.7%로 가정하여 생활필수품 대표품목 24개 인증제품의 구매 및 증가량에 따른 편익을 간접적으로 산출하였다. 환경․경제적 편익산출 결과 24개 인증제품의 연간 구매금액은 2015년 기준으로 5조107억원이며, 인증제품 구매에 따른 환경·경제 편익은 4,621억원으로 인증제품 구매액 대비 약 9.22%의 편익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센티브 제공 부족, 인증제품 홍보 부족, 제품 다양화 부족 등 3대 미구매 사유 해결을 통한 환경마크 인증제품 잠재 구매 증가량에 따라 약 215만 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사회적 편익으로 발생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환경 친화적 소비․생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간시장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민간시장 환경마크 인증제품 활성화 정책 지원을 통해 다양한 편익이 유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social concerns regarding health and safety have increased, due to the natural disaster via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s from harmful chemical products such as humidifier sterilizer. Korea has introd...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social concerns regarding health and safety have increased, due to the natural disaster via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s from harmful chemical products such as humidifier sterilizer. Korea has introduced eco-label certification system since 1992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nd construct eco-friendly consumption and production cultural system. In this study, I (1)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former supply activation policy for eco-label certified products and (2) estimated the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social benefit by purchasing eco-label certified products to expand the scope of policy from public to private sectors. To investigate the purchase condition of eco-label certified products in private sector,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1,000 people for a month from July 2016, due to the lack of monitoring system for eco-label certified products. The "awareness of environment mark" was 27.5%, and "intention to preferential purchase of eco-label certified products" was 75.9%. The purchase rate of certified products in private market and potential purchase increase rate of certified products by solving the non-purchase reason was assumed as 20.9% and 15.7%, respectively. Under the assumption, the benefit induced by purchasing of 24 representative certified products (daily necessities) and their increasing amounts were indirectly estimat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benefit, the annual purchase amount of 24 certified products was ₩5.0107 trillion (based on 2015), and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benefit induced by the purchase was ₩462.1 billion. This indicated approximately 9.22% of benefit compared to purchase amount of certified product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2.15 million jobs could be created by the employment induction effect (social benefit) with the potential purchase increase of eco-label certified products by solving three major non-purchase reasons (i.e., insufficient provision of incentive, insufficient promotion of certified product, and insufficient product diversification). In conclusion,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market for eco-label certified products is essential to establish eco-friendly consumption and production system for sustainable growth.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diverse benefits could be induced by supporting the activation policy for eco-label certified products in private market.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