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재한 키르기즈스탄 근로자들이 한국사회라는 타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 본 연구에서는 재한 키르기즈스탄 근로자들이 한국사회라는 타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사회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해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키르기즈스탄 이주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서 거주하고 기간이 1년 이상 5년 미만의 21세에서 30세의 E-9 취업 자격을 가진 합법 키르기즈스탄 근로자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 방법은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112개의 개념과 38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재한 키르기즈스탄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으로 ‘한국으로 이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심현상은 ‘한국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한국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도출되었다. 이 현상에 대응하는 상황적 맥락은 ‘한국사회 부적응’, ‘사전 지식 부족’, ‘선입견’, ‘상이한 기후’였다. 현상을 맞추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인내심’,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맞추고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본국 문화의 지향’,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사회적 지지’였고, 결과는 ‘문화적응 어려움’, ‘긍정적 문화적응’으로 도출되었다. 재한 키르기즈스탄 근로자의 문화적응 과정은 ‘입국 초기 단계’, ‘소외감과 갈등 단계’, ‘적응 노력 단계’, ‘적응 단계’의 4단계로 기술하였다. ‘입국 초기 단계’는 참여자들이 모국에서 부족한 일자리, 낮은 보수 등의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 선진문화의 습득을 목표로 삼아 한국으로 이주하였으나 한국사회생활의 현실에 부딪히게 되는 단계이다. ‘소외감과 갈등 단계’는 참여자들이 낯선 나라, 낯선 문화에 처음 와서 적응하는 데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낀다. 한국사회는 아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여,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지역사회와 회사 동료들로부터 차별과 편견을 당하고, 대인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같이 일하는 한국인 동료들이나 다른 나라에서 온 외국인 동료들과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적응 노력 단계’에서는 참여자들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적응하기 위해 힘쓰면서 새로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부분적 수용을 한다. ‘적응 단계’는 참여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고 한국의 문화에 적응하는 단계이다. 핵심범주는 키르기즈스탄 근로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한국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라는 현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면서 다른 범주들을 이루는 ‘한국 사람 되기’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재한 키르기즈스탄 근로자는 ‘한국사회 부적응’, ‘사전 지식 부족’, ‘선입견’, ‘계절의 변화’의 영향을 받아도 사회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 ‘본국 문화 지향’,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사회적 지지’에 따라 다양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인내심’,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노력’으로서 마지막으로는 ‘한국 사람 되기’는 과정으로 알 수 있었다. 주제어: 키르기즈스탄, 외국인 근로자, 문화적응, 근거이론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