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 목록을 추출하고 그들의 사용역별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작문을 할 때나 담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부사를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 목록을 추출하고 그들의 사용역별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작문을 할 때나 담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부사를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한 목록을 다양한 사용역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용역(registers)’이란 다양한 담화 상황에서 특정한 언어 형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언어 사용 습관에 관한 것을 말한다. 먼저 논의의 전개를 위하여 표준국어 대사전의 부사 목록을 살펴보았고 국립 국어원에서 출판한『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의 부사 목록을 분석하였으며 세종 말뭉치를 가공한‘꼬꼬마 세종 말뭉치’, 민족문화 연구원에서 구축한‘SJ-RINK 코퍼스 확장판’, 고려대학교 음성언어센터에서 구축한 ‘구어 말뭉치’에서 부사들의 사용역을 살펴보았다. ‘꼬꼬마 세종 말뭉치’에서는 신문, 잡지, 책, 기타 출판물(안내문, 소책자, 정부문서), 기타 비출판물(일기, 편지, 작문 등), TV 방송, 라디오 녹음, 전자출판물(CD-ROM)등으로 사용역을 나누었다. ‘SJ-RINK 코퍼스 확장판’에서는 전사자료(순구어), 대본자료(준구어), 신문, 잡지, 상상적 책, 정보적 책, 총류로 사용역을 나누었다. 고려대학교 음성언어센터의 ‘구어 말뭉치’에서는 성인자유발화(상담, 잡담, 대화), 말글 비교 실험(경험담(방송, 일상 대화), 사회, 진행), 토론 DB(토론회, 심포지엄, 청문회)로 사용역을 나누었다. 본 연구의 논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의 추출 기준과 추출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고에서 논의할 대상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국어 대사전에 제시된 부사 총 목록 18,052개 중에서 본말, 방언, 북한말, 옛말, 구어를 제외한 10,665개와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 제시된 초급·중급·고급 단계의 부사 총 목록 657개, 그리고 이와 개수를 맞추기 위해‘꼬꼬마 세종 말뭉치’에 제시된 목록 중 빈도 순위 657개를 선택하였다. 그 중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부사 목록 569개를 추출하였고 본문에서는 초급·중급·고급 단계의 상위 빈도 10%를 살펴보았다. 둘째, 추출된 초급·중급·고급 단계의 목록이 문어 사용역에서 어떠한 출현 빈도를 보이는지에 대한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것들을 논의하였다. 셋째, 추출된 부사 목록을 의미별로 나누었고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 목록 중 많이 사용되는 부사 목록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초급 단계에 추출된 부사는 정도부사 > 접속부사 ≒ 빈도부사 ≒ 양태부사 > 부정부사 순으로 나타났고 중급 단계에 추출된 부사는 양태부사 > 정도부사 > 접속부사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급 단계에서는 양태부사 > 정도부사 > 장소부사 ≒ 시제부사 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추출된 부사 목록을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서 살펴보고 고빈도를 보이는 목록을 분석하여 목적별 한국어 교재를 만들 때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를 추출하였고 구어와 문어의 빈도를 분석하여 작문을 할 때나 담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부사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록들은 사용역을 활용한 한국어 목적별 교재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외국인 학습자들이 본고에서 제시한 목록을 사용하여 만든 교재로 학습하게 된다면 작문을 할 때나 다양한 담황 상황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