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첫째 목적은 공통적으로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자어 부정접두사 ‘비-’, ‘불/부-’, ‘무-’, ‘미-’ 한국어에서 ‘비-’, ‘불-’, ‘무-’, ‘미-’외에 ‘몰-’이라는 ... 본 연구의 첫째 목적은 공통적으로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자어 부정접두사 ‘비-’, ‘불/부-’, ‘무-’, ‘미-’ 한국어에서 ‘비-’, ‘불-’, ‘무-’, ‘미-’외에 ‘몰-’이라는 한자어 부정접두사도 있다. 한국어의 ‘몰-’에 대응하는 중국어 ‘沒’도 있지만 서로 적용하는 기능이 매우 다르다. 한국어의 ‘몰-’은 어휘적인 요소지만 중국어의‘沒’은 통사적인 요소이다. 이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 ‘몰-’을 연구 대상에 제외한다. 와 그에 해당하는 중국어 준전철(準前綴) ‘非’, ‘不’, ‘无’, ‘未’에 초점을 두어 각각의 범주를 분석하고, 결합 양상과 파생어의 유형을 대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둘째 목적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부정접두사 파생어 교육목록을 구축하고 파생어의 유형에 맞추어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두 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한 · 중 ‘非’, ‘不’, ‘無’, ‘未’의 대조를 위해서는 한 · 중 양 언어의 ‘非’, ‘不’, ‘無’, ‘未’의 범주에 대한 규정방법을 논의하였으며 ‘非’, ‘不’, ‘無’, ‘未’에 의한 파생어의 결합 양상을 대조해 보았다. 다음으로 한 · 중 ‘非’, ‘不’, ‘無’, ‘未’의 파생어를 형태와 의미로 나누어 유형별로 대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동형동의(同形同義), 동형이의(同形異義), 이형동의(異形同義), 한 언어에만 존재하는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면서 대조하였다. 다음으로 대조 결과를 토대로 한자어 부정접두사 파생어 교육목록을 구축하였다. 국립국어원(2003)에서 편찬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와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4종의 한국어 교재에 등장하는 한자어 부정접두사 파생어를 중심으로 목록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목록에 제시된 어휘를 동형동의(同形同義), 동형이의(同形異義), 이형동의(異形同義), 한 언어에만 존재하는 경우, ‘불/부-’로 시작하는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유형에 대한 교육 내용을 구축하였다. 교육 내용을 구축할 때 크게 형태와 의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형동의(同形同義)의 경우는 형태적으로 제시할 때 해당 파생어의 한자 표기를 제시한다. 의미적으로 제시할 때 해당 중국어와 용법상의 미묘한 차이점, 연어 관계상의 차이점을 밝힐 필요가 있다. 동형이의(同形異義)의 경우는 형태적으로 제시할 때 해당 파생어와 동형인 중국어와 같이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해당 파생어가 동형(同形) 중국어와 형태가 똑같지만 의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한: 불규칙≠중: 不規則). 의미적으로 제시할 때 해당 파생어와 동의(同義)인 중국어를 같이 제시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불규칙’과 동의(同義)인 중국어는 ‘不规则’이다. 이형동의(異形同義)의 경우는 형태적으로 제시할 때 해당 파생어의 한자 표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동일한 의미를 갖는 중국어 단어를 같이 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한: 비정상(非正常)=중: 不正常〕. 이는 학습자가 한 · 중 어휘간의 형태상의 차이점을 알아내는 데에 도움이 된다. ‘불-’이나 ‘부-’로 시작하는 경우는 교육 내용을 구축할 때 ‘不’로 시작하는 파생어가 어떤 환경에서 ‘불-’ 또는 ‘부-’를 쓰는지를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에만 있는 경우는 단순히 한자 표기를 제시하기보다는 해당 파생어와 관련된 주변적인 어휘 또는 해당 파생어의 대표적인 논항 구조를 제시한다. 논항 구조의 제시는 학습자가 해당 파생어의 통사적 특징과 어휘적 특징을 인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The first analysis in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of Korean sino-negation prefix and Chinese semi-prefix. Second part is our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mbination aspects with 'bi', 'bul/bu', 'mu', 'mi' in Korean and 'bi', '... The first analysis in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of Korean sino-negation prefix and Chinese semi-prefix. Second part is our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mbination aspects with 'bi', 'bul/bu', 'mu', 'mi' in Korean and 'bi', 'bul/bu', 'mu', 'mi' in Chinese by studying five different cases. Specifically, the five cases used i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ase when they both share the same shape and meaning, when they share the same shape but express the different meaning, when they express the same meaning with different shape, and the case when such word can be found in Korean but does not exist in Chinese. or vice versa. At the end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bi', 'bul/bu', 'mu', 'mi' lack independ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derive new vocabulary by combining with another root or stem. Besides, it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bi', 'bul/bu', 'mu', 'mi' that 'bi', 'bul/bu', 'mu', 'mi' in Chinese cannot only play the role of Chinese semi-prefix but also used as negation adverb in a sentence. Meanwhile, we extracted 51 matched pairs of vocabularies to compare the combination aspects of 'bi', 'bul/bu', 'mu', 'mi' both in Korean and Chinese. Specifically, 18 pairs regarding the case that shares the same shape and meaning, such as the word 'bul ga neung'; 4 pairs regarding the case that shares the same shape but expresses the different meaning, like the word 'bul seong sil'; 19 pairs regarding the case that expresses a similar meaning with a different shape, for instance, 'bi jeong sang' in Korean and ‘bul jeong sang’ in Chinese; and lastly, 10 pairs regarding the case in which the word exists only in Korean and not in Chinese or vice versa such as mu jak jeong and bul nam in.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