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텔링(re-telling)’을 활용한 <숙향전>의 창작 교수·학습방안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reconstructs the classic novel <Sukhyang-Jeon> using “re-tell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creative and independent literacy skills and the ability to reconstruct a...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reconstructs the classic novel <Sukhyang-Jeon> using “re-tell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creative and independent literacy skills and the ability to reconstruct and create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However, the current way of organizing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is limited to inducing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d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convergence of dialogue-centered literary appreciation model and workshop-centered writing instruction model.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divided into the steps of conference and the steps for re-telling. First, one of the steps of conference is the stage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the original in depth. Second, another step for re-telling is the stage in which the original is reconstructed from a new point of view. At the conference stage, a dialogue-oriented literature appreciation model was fused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work and for subjective impression. Students can appreciate th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more creatively and critically through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at various levels, such as inner dialogue, dialogue with peers, and inner dialogue with teachers. After the learner has fully discussed, the purpose of re-telling is to reconstruct or re-create literary works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with their groups.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by selecting <Sukhyang-Jeon> as a subject matter of conference-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First, it had limitation that the textbooks of current curriculum were occupied with modern literature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reative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turned out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ore effective than modern literature for re-telling. Furthermore, the classical literature, <Sukhyang-Jeon> has fantasy created by continuous interaction of the heavenly system and the earth system, and that such fantasy is embodied through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and background of the work. Finally, we derived the educational value of <Sukhyang-Jeon> through it and concluded that <Sukhyang-Jeon> is suitable as the material of re-telling. It was designed that the conference-centere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applied <Sukhyang-Jeon> for a total of five classes. However, it is possible to use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to carry out the first class, and the third to fifth class can be planned in a fluid way using the 'Block scheduling’ teaching method. In the 5th class, students must have time to share their results and exchange positive feedback. Through this successful experience that learners created new literary works, they can improve self-efficacy. Lastly, we hav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uggested detailed activities to plan how to re-telling <Sukhyang-Jeon>. Learners can select the parts that we would like to reconstruct such as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and background. They can also plan how to re-telling <Sukhyang-Jeon> through the small steps that we developed. We also developed and attached examples of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and reflect on a series of activities that are planned, written, and rewritten. The proposed teaching-learning model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classical literary works other than <Sukhyang-Jeon>. By re-telling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thought to be simply an old thing, learners can think of classical literature that they were familiar with in a new point of view. Therefore, according to this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 expect that it can be helped not only to recreate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creatively acculturation.

본고에서는 리텔링(re-telling)을 용하여 고전소설 <숙향전>을 재구성 해보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문학 감상 능...

본고에서는 리텔링(re-telling)을 용하여 고전소설 <숙향전>을 재구성 해보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문학 감상 능력과 새로운 관점에서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의 학습활동 구성방식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유도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화 중심 문학 감상 모형과 워크숍 중심 쓰기 지도 모형을 융합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자들이 원작을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하기 위한 협의하기 단계와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관점으로 원작을 재구성하는 리텔링(re-telling) 단계로 나뉜다. 협의하기 단계에서는 원작에 대한 이해와 주체적인 감상을 위해 대화 중심 문학 감상 모형을 융합하였다. 학생들은 개인 내적 대화, 동료와의 대화 그리고 교사와의 대화 등 다양한 층위의 대화와 협의를 통해 작품의 내용을 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충분하게 협의한 후, 리텔링(re-telling) 단계에서는 감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소집단원들과 작품을 재구성 혹은 재창작하여 한편의 작품을 완성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협의 중심 창작 교수·학습 모형의 제재로써 <숙향전>을 선정하여 하나의 교수·학습 계획안을 설계하였다. 우선, 현행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창작 교육 성취기준의 문학작품 제재로써 현대문학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한계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현대문학보다 고전문학을 리텔링하는 것이 창작 교육 성취기준의 소재로써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고전문학 중 <숙향전>은 천상계와 지상계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환상성이 창출되고, 그러한 환상성은 작품의 서사구조, 인물 그리고 배경을 통해 구체화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그것을 통해 <숙향전>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리텔링의 소재로써 <숙향전>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협의 중심 창작 교수·활동 모형에 <숙향전>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은 총 5차시로 설계하였다. 그러나 ‘거꾸로 교실’과 같은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 1차시를 진행하고, 3~5차시는 ‘블록 타임제’ 등을 활용하여 유동적으로 차시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5차시에는 반드시 학생들이 서로의 결과물을 공유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야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새로운 작품을 창작했다는 경험을 얻고, 자아효능감을 함양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안한 교수·학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숙향전>을 서사구조, 인물, 배경의 측면에서 심층적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하고 싶은 부분을 선정하고, 어떤 방법으로 리텔링(re-telling) 할 것인지 계획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획하고, 초고를 작성하고, 고쳐쓰는 일련의 활동 내용을 평가하고 성찰 할 수 있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자료의 예시를 개발하여 첨부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협의 중심의 창작 교수·학습 모형은 <숙향전>이 아닌 다른 고전문학 작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단순하게 ‘고루한 옛 것’이라고 생각했던 고전문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리텔링(re-telling) 해봄으로써 익숙하게 알고 있었던 고전문학을 새로운 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은 고전문학의 가치를 재창출하여, 한국 전통 문학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계승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으로 재구성하여 한국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