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s of graphic organizer for academic purposes.
We has been presumed that the difficulties of foreign student who have learned Korean language are caused by text structure, t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s of graphic organizer for academic purposes.
We has been presumed that the difficulties of foreign student who have learned Korean language are caused by text structure, text length, unfamiliar vocabulary, content of textbook. But, Students who pursue their college course must have not only high korean proficiency but high korean reading ability. Graphic Organizer became known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ability because it valuable to education of text structure and schema activ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reading instruction based Graphic organizer.
The outline of the dissertation is the following.
In chapter Ⅰ, after mentioning the purpose, the necessity and the method of the study, reviewed the former researches.
In chapter Ⅱ, I defined Reading Ability and Reading Skills. And Korean Read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inking Skills, Process of Reading and Elements related to Reading.
In Chapter Ⅲ, The type of Graphic Organizer for expository text is described. I analyzed each of Graphic Organizer according to feature. So, Each Graphic Organizer are categorized as Schema-based diagram, text structure-based diagram and classified Reading Skills which is activate by the activities of Graphic Organizer.
In Chapter Ⅳ, I collected data thorough actual reading class which is designed by model of Graphic Organizer in order to examined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y and Graphic Organizer. First, I advertised for participants in university and execute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way of actual class. Then, Participants were set up 2 groups and experimented just only 1 time. The leaners of group 1 taken class which is organized by Graphic Organizer activities. And the leaners of group 2 taken regular lesson. The text that used lesson was same. After analyzing pre-test and post-test, it represent Graphic organizer is helpful(effective) for Inferential skills about text flow. In addition, Schema-based diagram which were made with participants in lesson represent that Schema-based diagram contained wide variety leaner’s schema.
In Chapter Ⅴ,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designed the class model using(based on) Graphic Organizer. And, The class model was reflected Graphic Organizer made by foreign students through actual clas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Korean Read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were classified and also Graphic Organizer were categorized Schema-based diagram, text structure-based diagram. Furthermore, Class model by using the Graphic Organizer was designed to improve reading ability for the korean leaner for academic purposes.
국 문 초 록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하여 도식화 활동을 활용한 읽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높은 한국어 ...
국 문 초 록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하여 도식화 활동을 활용한 읽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높은 한국어 숙달도 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식화 활동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았다. 도식화 활동은 글의 구조 지도와 스키마 활성화 ․ 내재화에 유용하다.
먼저 2장에서는 교육 목표로서의 읽기 능력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을 분류하였다. 읽기 능력은 읽기 전과정에 걸쳐 활성화되는 정신적인 작용으로서, 하위 기능(skills)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기능들을 체계에 맞게 분류하기 위하여 사고 기능, 읽기 과정, 읽기 능력 관련요소를 고려하였다. 읽기 기능은 일반적 이해 기능, 사고 기능과 비슷한 맥락에 있어 이를 뼈대로 1차적 분류를 하였다. 그러나 사고 기능은 인지적인 읽기 과정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여 각 세부항목을 읽기 과정에서 처리되는 수준에 따라 배열하였다. 나아가 읽기 능력 관련 요소인 독자 ․ 텍스트 ․ 언어지식 요소를 반영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기능을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의 도식화 활동을 위하여 설명적 텍스트 지도에 효과적인 도식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각 도식의 특징을 살펴본 후 완성되는 형태가 고정적인지 가변적인지에 따라 텍스트 구조 의존형 도식과 스키마 의존형 도식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도식의 활동을 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읽기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적용에 앞서 도식화 활동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식화 활동 중심의 읽기 수업을 받는 실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구조 의존형 도식은 사전 ․ 사후 검사를 통해 글의 논리적 흐름 추론하기 영역과 글의 문제점 지적(평가하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완성한 스키마 의존형 도식의 분석을 통해 학습자별 다양한 스키마가 있으며 전공별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도식화 활동을 활용한 읽기 수업 설계를 위하여 교육 목표로서 텍스트와 읽기 기능을 선정하여 도식을 선별 ․ 사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도식은 읽기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원리로 교수될 수 있다. 읽기 전 단계는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시키고 글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주제와 내용을 추측하는 ‘예측하기’ 단계로 내용 스키마 도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읽기 단계는 ‘체계화하기’ 단계로 텍스트를 읽어나가면서 텍스트 구조 의존형 도식에 글의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읽기 후 단계는 ‘감상하기, 적용하기’단계이다. 글을 읽고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여 감상하거나 새로운 산출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학습 내용과 자신의 스키마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스키마 의존형 도식을 활용하여 학습 내용이 내재화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교수 원리를 바탕으로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완성한 스키마 의존형 도식을 제시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대학 수학에서의 어려움을 읽기 능력의 부족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읽기 능력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읽기 기능으로 분류하여 교육 목표와 교수,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해 볼 수 있다는 점, 도식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목적 있는 도식화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데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 도식화 활동, 읽기 능력, 읽기 기능, 스키
마 의존형 도식, 텍스트 의존형 도식, 설명적 텍스트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