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요구와 함께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사회불안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면서, 그 경로에서 부정적 인지와 함께 이차적 인지라고 할 수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요구와 함께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사회불안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면서, 그 경로에서 부정적 인지와 함께 이차적 인지라고 할 수 있는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신체 존중감,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 거부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특히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를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과 거부민감성이 이중매개 할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스러우면 더 행복하고 성공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아름다워지려고 노력한다. 시각매체를 통해 신체의 아름다움은 행복, 성공, 사회적 지위 등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기호와 함께 전달됨으로써, 아름다운 신체는 행복과 성공이라는 이미지가 결합되어 사회에서 요구하는 이상적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하게 된다. 사회,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는 이상적 신체이미지는 자신의 신체를 남과 비교하면서 기준에 미달 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자신의 외모로 인해 직장,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되고, 이로 인한 부정적 경험은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이후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안을 낳는데, 특히 대인관계에서 그 결과를 긍정적으로 기대하기보다 부정적으로 해석하고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사회라는 무대에 나가기 전 대인관계에 대한 단단한 토대가 필요한 대학생의 신체 존중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불안 연구는 이후 대학상담센터에서 여대생 상담 시 염두해 두어야 할 심리적 변인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부산, 경남의 여대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616명의 자료 중에서 신뢰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하고 5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신체존중감(BES),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NCSS), 거부민감성(RSQ),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SIAS)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 실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해서 모형을 확정했다. 그리고 최종 결정된 모형의 각 경로계수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이것은 신체 존중감이 사회불안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둘째,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은 신체 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재, 거부민감성은 신체 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 존중감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부민감성을 매개하는 것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불안을 예견하는 가장 큰 요인은 신체 존중감, 거부민감성이라는 인지-정서 변인보다 부정적 사회적 자기개념이 인지적 변인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신체 존중감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하는 사회, 문화적 예견이 잘못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오히려 부정적으로 자신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즉, 아름답지 않아서 대인관계에서 거절당할 것이라는 예상이나 불안감보다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인지와 오해석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상담에서 여대생이 외모문제로 대인관계 불안이나 거부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다면 외모문제를 다루기보다 그러한 문제를 발생시킨 부정적 인지를 다루는 것이 사회불안 해소에 도움이 됨을 알았고,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