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부모역할자신감, 부모역할만족...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부모역할자신감, 부모역할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의 어떠한 하위요인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의미 있고 영향력 있는 변인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부모역할자신감, 부모역할만족도 각각의 차이를 보고,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의 결혼이주여성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t-test, ANOVA, Scheffe,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요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부모역할만족도가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보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결혼이주여성들은 부모역할만족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은 부모됨의 준비없이 그리고 한국어가 미숙한 상황에서 아이를 갖게 되는데, 말보다 마음과 행동으로 소통할 수 있는 어린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타국생활의 외로움에 큰 위로가 되어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여 진다.
사회적지지에서는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지지를 가장 높게 지각하였으 며,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주변 지지체계로부터 편하게 도움을 받고 친밀감을 느끼며, 자신의 감정을 이해해주고 용기를 주는 정서적지지를 가장 높게 자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종합해보면 연령, 취미활동이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었으며, 다음으로 학력, 출신국가와 결혼기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수가 적어서 비교적 개인 공부나 취미활동이 시간적으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며, 개인 공부나 취미 활동을 함으로써 주변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부모역할자신감은 연령, 출신국가, 결혼기간, 직업유무,
어렸을 적 가족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24세 이하인 집단, 결혼기간이 2년 이하인 집단, 비취업모 집단, 그리고 어렸을 적 가족관계를 매우 좋게 인식하는 집단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부모역할자신감이 높았다. 이들 은 자녀 양육에 대한 전문 지식, 기술, 흥미를 가지고 있고, 엄마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는 5가지 하위요인 즉 일반적 만족도, 부모자녀관계, 배우자의 지지, 부모역할갈등, 자녀의 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모역할만족도 전체와 각 하위요인들의 차이를 종합해보면 어렸을 적 가족 관계가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었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어렸을 적 가족관계 경험이 좋을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렸 을 적 가족관계가 부모역할만족도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연령, 학력, 출신국가도 부모역할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향력 분석결과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자신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은 정보적지지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순으로 부모역할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 주여성들에게 정서적 도움이나 이해, 행동에 대한 인정이나 평가 또는 경제적 도움보다는 충고나 조언,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적인 지지가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 동기가 경제적 목적을 갖기 때문에 사회적 통념이 결혼이주여성들은 물질적 지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는 잘못된 편견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부모역할자신감이 사회적지지보다 부모역할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부모역할자신감은 부모역할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변인이며,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를 키우는데 자신감을 갖도록 격려해주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기회와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