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미학(禪宗美學) 사상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오늘날 인류는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물질적 풍요시대에서 정신적 빈곤에 직면하고 있다. 다원화를 추구하는 현대사회는 새로운 사회문화와 인문환경적인 측면에서 심미적 기준을 구현...

오늘날 인류는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물질적 풍요시대에서 정신적 빈곤에 직면하고 있다. 다원화를 추구하는 현대사회는 새로운 사회문화와 인문환경적인 측면에서 심미적 기준을 구현하기를 원하고 있고 이에 따라 철학, 종교적 사상 등을 디자인에 응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친환경 소재와 천연 재질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대표하는 디자이너들도 생겨 나고 있다. 중국 디자이너인 Ma Ke는 2008년 파리에서(Paris Haute Couture Week)자연과 가장 가까워진 소박한 상태의 디자인으로 작품을 표현했으며, 소비자들은 이처럼 정체성을 가진 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의 선종미학(禪宗美學)은 일종의 경지를 가리키며 특수한 종교적인 수행을 뜻한다. 또한 선종은 자아를 초월한 여유로운 삶의 철학과 담백하고 자연스러운 생활의 정취를 추구하였다. 또“지가의회(只可意會), 불가언전(不可言傳)” 사상은 심미 예술의 특징과 규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영감을 주어 그것이 추구하는 의경(意境)에 도달하게 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중국의 고정미학 중, 하나인 선종미학의 사상을 파악하고 그에 나타난 조형성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종미학의 사상 중, 자연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두었고 이를 패션디자인과 접목시켜 새롭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중국의 선종미학을 통해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켜, 작품에 응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선종미학(禅宗美学)의 형성 및 유래, 사상 및 특징을 고찰하고 선종사상의 조형적 특성이 반영된 의상 작품제작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조형성과 감성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미적 융합의 표현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은 선종미학의 사상 및 특징 분석을 통해 선종미학의 조형 요소를 4가지로 분류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형태는 불입문자, 직지인심 사상에 의해 불확정성으로 표현 되었다. 전통 서의(写意)적 그림에 표현된 구조는 지가의회, 불가언전 사상에 의해 중신경행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괴색으로 무(無) 사상과 공(空) 사상에 나타났으며, 단순성을 띄고 있었다. 또 상징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상징성을 분석하였고 이 또한 단순성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양과 재질에 표현된 자연성(自然性)이다. 매, 란, 국, 죽 사군자 등 자연 고유의 소박한 문양과 순수한 재질 특성이 나타난다. 넷째, 선종미학 사상의 의경 그 자체이다. 선종미학의 지가의회(只可意会),불가언전(不可言传)의 의경과 그 표현형식인 정경융합설, 전형형상설, 초이상외설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특성을 바탕으로 선종미학 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그 조형적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의상 작품으로 제시 하였다. 선종미학 사상이 표현된 형태와 문양을 바탕으로 구조적 특성을 실루엣(silhouette)과 패턴화(pattern making) 작업에 반영하였고, 색상(color)에서는 선종미학의 생태(生态)성을 표현하였다. 선종미학의 내포적 의미는 자연적인 소재(fabric)의 활용과 더불어, 통영누비기법(manipulation)과 턱(tuck basics) 기법을 차용하여 지역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종미학 사상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작품 논문으로써, 선종 미학과 현대 디자인의 공통점을 찾고 선종 미학이 현대 디자인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Dhyāna aesthetics is one of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one of the biggest denominations of Chinese Buddhism. It is the amalga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and ideology (“Tao”, “Wuwei”, and “Nature”) of ...

Dhyāna aesthetics is one of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one of the biggest denominations of Chinese Buddhism. It is the amalga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and ideology (“Tao”, “Wuwei”, and “Nature”) of Taoism, and greatly influenced modern design era. The term “Dhyāna” is a practice which alters the state of mind, or the state itself which is led to a perfect equanimity and awareness. Zen seeks for individual meditation-practice, deep insight into Buddha-nature, and transcendence of daily life. The ideology of “Not to be told by words, but only by heart” affects and inspires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aesthetic arts, to the state of idealized world. It is also a great aesthetic philosophy towards life and experience. Sudden realization is achieved by individual capacity and real experience, not by others’, and the whole process in creation together with appreciation would be the important part of i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Zen Aesthetics, through its origin and formation, ideology and characteristics, to propose a new aesthetic combination which shows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Zen with modern plasticity on fashion works. Th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Zen Aesthetic plasticity based on basic studies of its ideology and characteristics. Firstly, it is the asymmetric construction which appears on forms of transience and indeterminacy, and structural philosophy expressed on traditional paintings. Secondly, it is the simplicity of color and symbol. “Withering Color (坏色)” appearing on Buddhist clothing, and symbolism of “The unity of human and universe” ideology is analyzed during the research. Thirdly, it is the patterns and texture showing naturalism which shows the purity of simplicity. The last would be the aesthetic of blank space and plainness based on ideology of “Not to be told by words, but only by heart”. By these four types of Aesthetic Plasticity, fashion works are proposed through the reflection of modern design. Forms and patterns based on Zen philosophy was applied on silhouette, pattern making and color. Natural fabric was used to signify Zen Aesthetics’ meaning, quilting manipulation and tuck basis was applied to emphasize its regionality. As clothing is the most direct express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Buddhist clothing conveys the Zenic ideology of emptiness. Design itself is the very significant media which conceives diverse cultural matters.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sharing parts of Zen Aesthetics and modern design through fashion works, seek for its potentials of inheritance and development.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