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상은 태극과 음양 사상을 기반으로 국가가 형성될 때마다 사회 이념의 되는 당시의 사상과 결합하여 한국인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아 왔다.
성리학은 한국 정신문화의 융...
한국 고대사상은 태극과 음양 사상을 기반으로 국가가 형성될 때마다 사회 이념의 되는 당시의 사상과 결합하여 한국인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아 왔다.
성리학은 한국 정신문화의 융성기인 조선초기의 사회지도이념이었고 종교, 철학, 사상이었다. 조선초기의 사상이 그 당시의 시각문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기 때문에 조선초기 성리학에 대한 이해와 개념에서 기인한 건축 및 시각 예술 등을 조사하여 한국적 조형기호를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성리학의 구조를 성즉리와 이기론으로 해석하여 사물의 생성 과정에 촛점을 맞췄다. 사물은 만들어져야만 하는 근거와 형체를 구성하는 단계, 즉 기획과 디자인을 거쳐야 비로소 사물로 존재 가치를 가지게 된다. 좋은 사물의 생성은 인간이 수양을 통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이 사물이어야하는 이유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은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발전된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와 한국 고대 사상과 함께 발전된 역학을 통해 밝혀낼 수 있었다.
개념이 시각화된 사례들로 조선 초기 한양의 도시 계획과 경복궁, 서원의 공간과 세부 건축에서의 홍살문, 창호와 창살의 비례와 색 등의 상징을 해체하여 도상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성리학의 개념을 기호로 풀어낸 대표적인 사례인 한글이 조합되는 과정을 답습하였다. 이를 분석하면 일정한 공통적인 비례와 여백, 색 등이 나온다. 추출한 조선초기 사상에 바탕을 둔 기본규정과 확장성을 지닌 조형기호 그리드를 만들고 공간, 비례, 색상 등을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사용되는 인쇄와 디지털 출력 요소, 디지털 기반의 작업 상황에 필요한 미디엄에 응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 사상, 개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시각화 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적인 디자인이 필요한 경우에 한국적 요소의 근원에 대해 성찰하고 사상과 이념이 표현 요소로 나타나게 하는 방법론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우리 전통의 조형기호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영향을 끼칠것이라고 생각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